논문 상세보기

전통한옥 설계기법을 적용한 북한의 현대한옥설계 기초연구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design techniques applied to the study of North Korea Modern Korean-style House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7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국제온돌학회 (International Journal of Ondol)
초록

21세기는 문화가 경쟁하는 민족개성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옥의 부흥과 ‘현대한옥’ 실현을 위한 연구의 한 방법으로 북한의 현대한옥에 연구를 통해 한옥의 범위를 확장하고 현대한옥의 하나의 범위로 그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제 건축에서도 분명 새로운 한옥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이 시대의 한옥이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해 봐야 하고 앞으로 우리의 후손에게 남겨줄 지금의 한옥을 정립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 우리의 한옥이 어떠했는지 알아야 함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옥에 적합한 기법을 찾아내고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시대 이 장소에서 새롭게 적응시킬 수 있는 설계와 시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이러한 바탕에서 본 연구는 북한의 대형공공건물에 전통설계기법을 적용한 방법을 통해서 이 시대 대한민국에서도 실현 가능한 현대한옥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북한에서 그간 연구하고 진행하고 있는 북한의 현대한옥을 조사 연구함으로 우리 현대 한옥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한옥의 정의 및 용어정리
 3. 지붕단면의 설계
 4. 지붕처마의 설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준봉(북경공업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 Kim, June-Bong
  • 백홍열(북경공업대학교 대학원) | Back, Hong-Youl
  • 유우상(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Yu, Woo-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