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Illumination-Dependent Pupil Size on Higher Order Aberration KCI 등재

조명에 따른 동공 크기가 고위수차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조명에 따른 동공 크기가 고위수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기타 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평균연령 22.5±1.04세의 35명을 대상 자로 선정하여 수차를 측정하였다. i.Profiler plus 기기의 특성상 명소시 상태에서 설정된 동공 크기 ʻ3 mmʼ 를 명소시 유사 환경, 반암실 상태에서 설정된 동공 크기 ʻmaximumʼ을 박명시 유사 환경 상태로 가정하였다. 동공 크기와 등가디포커스와 등가착란원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동공 크기를 3 mm, maximum으로 나뉘어 고위수차를 측정하였을 때, RMS는 0.30±0.13 ㎛ 및 0.38±0.15 ㎛로 나타났다. 총 고위수차의 등가디포커스가 동공 크기 3mm에서 0.28±0.14 D와 maximum에서 0.41±0.16 D 이었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동공 크기 3 mm와 maximum 에서 구면수차, 코마수차, 트레포일 수차의 등가디포커스의 차이는 각각 0.07 D, 0.04 D, 0.02 D 이었고, 구면수차(p=0.000) 및 코마수차(p=0.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등가디포커스와 등가착란원 사이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총 고위수차(R2=0.7045, p<0.01), 구면수차(R2=0.9376, p<0.01), 코마 수차(R2=0.8429, p<0.01), 트레포일수차(R2=0.7824, p<0.01)).
결론: 수차 측정 결과를 등가디포커스로 나타내어 교정이 필요한 정도를 디옵터로 표현할 수 있었다. 고 위수차의 교정이 고려되지 않았을 경우, 교정시력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고위수차의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illumination-dependent pupil size on higher order aberration.
Methods : Thirty five patients (mean age, 22.5 ± 1.04 years) who had no ocular or systemic disease and had no other relevant surgical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we measured aberration. Due to the property of i.Profiler plus instrument, it is assumed that the pupil size ʻ3 mmʼ under photopic vision is similar to photopic vision environment and pupil size ʻmaximumʼ under semidark room is similar to mesopic vision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upil size and equivalent defocus and equivalent blur circle was performed.
Results : RMS values were 0.30±0.13 ㎛ and 0.38±0.15 ㎛ when the pupil size was divided into 3 mm and maximum. The equivalent defocus of total high order aberration was 0.28±0.14 D at the pupil size of 3 mm and 0.41±0.16 D at the maximum, which are significant differences(p=0.000). The difference of equivalent defocus of spherical aberration, coma aberration, and trefoil aberration was 0.07 D, 0.04 D, and 0.02 D at 3 mm and maximum,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herical(p=0.000) and coma aberration(p=0.000)).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quivalent defocus and equivalent blur circle(total higher order aberrations (R2=0.7045, p < 0.01), spherical aberration(R2=0.9376, p < 0.01), coma aberration(R2=0.8429, p < 0.01) and, trefoil aberration(R2=0.7824, p < 0.01)).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e aberration measurement is expressed as equivalent defocus, so that the degree of required correction can be expressed as diopter. Unless the correction of high order aberrations is considered, it is valuable to study the visual discomfort of high order aberrations as there would be a change in the corrected visual acu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1) 수차 측정
    (1) 저위수차
    (2)고위수차
   2) 동공 크기 측정
   3) 자료처리 및 분석
 Ⅲ. 결과
  1) 등가디포커스
   (1)저위수차를 고려한 등가디포커스
   (2)고위수차를 고려한 등가디포커스
  2) 동공 크기에 따른 수차 별 등가디포커스
   (1)구면수차
   (2) 코마수차
   (3) 트레포일 수차
  3) 동공 크기에 따른 수차 별 등가착란원
   (1) 총 고위수차
   (2) 구면수차
   (3) 코마수차
   (4) 트레포일 수차
  4) 등가디포커스와 등가착란원의 상관관계
   (1)수차 별 등가디포커스와 등가착란원의 상관성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eong-Min So(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대전) | 소정민
  • Chang-Jin Kim(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대전) | 김창진
  • Hyun-Il Kim(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대전) | 김현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