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후기 古銅器 수집과 감상 KCI 등재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Chinese Bronzes of Late Joseon Period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5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조선후기 서화고동의 수장과 감상은 명대말기 문인 문화의 수용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는 서적의 수입을 통해 수용되었고, 당대의 문집 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당시의 서화고동의 수집과 감상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서 수장가들은 고동, 서화라는 명칭이 들어가는 건물을 가질 정도로 많은 서화고동을 수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경향은 명청대의 고동기 방제의 경향을 따르고 있어 상주 대 고동기를 비롯해 명대 선덕로의 방제가 주요한 수집과 감상의 대상이었다. 조선의 고동기 수집과 감상은 주로 鼎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현재 남아있는 것들은 대부분 18~19세기 조선에 유입된 것들이다.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 열기로 인한 감식서도 등장하는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이운지」권5 <예원감상>의 고동은 당시 고동기 수집과 감상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동천천록』, 『준생팔전』 등 명청대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대표 서적을 인용하여 작성한 것이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고동록」에도 당시에 유행하였던 고동기의 종류와 등급 등을 언급하였는데, 박지원은 인용 근거를 명시하시 않았지만 『준생팔전􋺸의 내용과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유구와 박지원이 인용한 『준생팔전』의 내용 중 고동기 등급과 평가에 대한 것은 북송대 편찬된 『선화박고도』를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지배층의 고동 수집과 감상의 경향은 문왕정과 선덕로로 대변되며, 문왕정은 유교적 대의명분이 강하였고, 선덕로는 명대이후 향로의 가장 중요한 품목이었기 때문에 조선 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따랐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the calligraphies and antiques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due to the acceptance of the literati culture of the end of the Ming period. These kinds of culture was accepted through the importation of books, and it is confirmed through a collection of works. Th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the calligraphies and antiques at that time was quite extensive, so the collectors had a building with the name “Kodong” and “calligraphy”. The tendency of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Chinese bronzes of the late Joseon period followed the tendenc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imitations of Xuandelu as well as bronzes of Shang and Zhou dynasty became the subject of major collection and appreciation. Th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Chinese bronzes of Joseon period was mainly centering on Ding, and most of the remains left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me to Joseon.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connoisseurship books about distinguishing the authenticity like Imwongyeongjeji by Seoyugu by quoting Dongtianqinglu(洞天淸錄) and Zunshengbajian(遵生八牋) and Godongrok of Yeolhailgi by Parkjiwon. Parkjiwon mentioned the types and grades of Chinese bronzes that were prevalent at the time in the his Godongrok of Yeolhailgi. He did not specify the grounds for quoting, but he quoted Zunshengbajian(遵生八牋).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Zunshengbajian quoted by Seoyugu and Parkjiwon follows the Xuanhebogutu that was published at Northern Song. The tendency of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the ruling clas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was represented by Wenwang rectangular ding.

목차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Ⅱ.  명대말기 문인 문화의 수용
 Ⅲ. 조선후기 고동 수장가와 수장품
 Ⅳ. 감식서의 등장과 고동기의 수집 경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이용진(국립공주박물관, Gongju National Museum) | Lee, Yo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