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강적 피드백의 제시시기와 제시방법에 따른 리듬체조 후프 동작 학습의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Learning for Hoop Movements on Timing and Method of Augmented Feedback in Rhythmic Gymna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9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의 제시시기와 제시방법에 따른 리듬체조 후프 동작의 학습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들은 20대 남, 여 각 30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과제는 리듬체조 기술 중에서 후프과제를 선정하였고, 후프 기술 가운데 연구의도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5가지의 연속동작 과제이다. 연구의 목적 삼 리듬체조의 경험이 없는 20대 남, 여를 대상으로 하며 6개의 실험집단 즉 동시적 시각 피드백, 동시적 언어 피드백, 동시적 혼합 피드백, 종말적 시각 피드백, 종말적 언어 피드백, 종말적 혼합 피드백 조건에 남, 여 같은 수의 비율로 우선배정 하였다. 동시적 시각 피드백 조건은 시행 중에 숙련모델의 동작 수행 장면을 정면에 설치된 TV모니터를 통하여 보면서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이었으며, 동시적 언어 피드백 조건은 후프동작에 관한 언어적 정보를 연속적으로 들으면서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이었다. 동시적 혼합 피드백 조건은 시행 중에 숙련모델의 동작 수행 장면과 언어적 정보를 동시에 제공받으며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이었다. 종말적 시각 피드백 조건과 종말적 언어 피드백 조건, 그리고 종말적 혼합 피드백 조건은 각 시행 끝난 후에 동시적 피드백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강적 피드백을 제공받는 조건이었다.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의 제시시기와 제시방법에 따라 운동수행과 학습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 시행 분단을 반복 측정하는 2(피드백 제시시기)×3(피드백 제시방법)×5(분단) 요인설계를 하였다. 즉각 파지단계와 지연 파지단계도 역시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윈도우용 SPSS (ver.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 .05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인 부분은 사후검증 (Tukey`s HSD)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적 피드백과 종말적 피드백은 동작수행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시각 피드백과 언어 피드백은 동작수행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각 피드백이 언어 피드백보다 동작수행점수가 좋았다. 셋째, 시각 피드백과 혼합 피드백은 동작수행점수에서 통계적의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혼합 피드백과 언어 피드백은 동작수행점수에서 통계적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혼합 피드백이 언어 피드백보다 동작수행점수가 좋았다. 다섯째, 분단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행이 증가함에 따라 각 분단 모두에서 수행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a hoop movement on timing and method of augmented feedback in rhythmic gymnastics. The sixty subjects (30 males & 30 females) were selected from adults (ranging from 20 to 29 years) in Seoul, Korea.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different conditions groups: Concurrent Visual Feedback (experimental group 1), Concurrent Visual Feedback (experimental group 2), Concurrent Visual +Verbal Feedback (experimental group 3), Terminal Visual Feedback (experimental group 4), Terminal Verbal Feedback (experimental group 5), Terminal Visual+Verbal Feedback (experimental group 6). Each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5 sequential movements of hoop skill tasks, was carried out 2 (feedback timing)×3 (feedback method)×5 (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All post hoc analyses used the Tukey`s HSD for difference between motor performance and learning on timing and method of feedback. Also, retention and delayed retention stages analyzed by 3-way ANOVA. Data analyses were derived through the use of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10.0). The following results are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1)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current feedback and terminal feedback in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isual feedback and verbal feedback in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and then visual feedback was higher than verbal feedback in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3)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isual feedback and mixed feedback in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xed feedback and verbal feedback in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and then mixed feedback was higher than verbal feedback in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locks an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locks, the movement performance scores of each block became higher. In conclusion, regarding the feedback timing,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process or the end of movement performance received feedbacks. Visual or visual+verbal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verbal feedback in the method of feedback.

저자
  • 김지수(연세대학교) | Kim Ji-Soo (Yonsei University)
  • 육동원(연세대학교) | Yook Dong-Won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