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운동부 집단 성원의 인생에 대한 목적의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Purpose in Life of Sport Teams on the Member`s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학교운동부 및 스포츠동아리 소속 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인생의 목적의식과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대학교 운동부 18개 팀과 스포츠 동아리 16개 팀에 소속하는 남자부원 447명을 대상으로 佐藤(1985)의 인생의 목적척도와 5항목의 만족도 설문을 실시했다. 인생의 목적척도 득점의 전체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치보다 높은 독점의 피험자들을 상위군, 낮은 득점의 피험자들을 하위군으로 분류했다. 또한, 운동부 집단과 동아리 집단은 그 성격이 다르므로, 각 군의 만족도 득점을 2(인생의 목적상위군, 하위군)×2(운동부, 동아리)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은 성원들은 낮은 성원들보다 운동기능 향상의 기회와 연습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운동기능, 팀의 운동기능, 운동부에서의 생활에서 코치, 부원, 그리고 일반적인 모든 면에 관한 만족도는 운동부 소속성원들의 경우 목적의식의 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지만, 동아리 소속성원들은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은 성원들이 낮은 성원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운동부와 스포츠 동아리 성원들의 만족도는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을수록 높으며, 이러한 경향은 집단의 특성과 만족도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satisfaction in school athletic teams and recreational sport team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47 male of the 34 university sports teams(18 elite sport teams, 16 recreational sport teams), executed the scale of Saito` purpose in life and a five-item questionnaire to assess the satisfaction. After get total mean of the scale of purpose in lif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 high group who scored higher than total means score of purpose in life, low group who scored lower than total means score of purpose in life. Considering differ from that characteristic of elite sport teams and recreational sport teams,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2(elite, recreational sport teams)×2( high group, low purpose in life)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ember of high group in purpose in lif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of the low group about opportunity to improvement of motor skills, practice time, individual Motor skills, every respect on coach, member and general in life of sport team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bout motor skills of teams, but the member of high group in purpose in life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than those of the low group in recreational sport teams.

저자
  • 김명수(포항공과대학교) | Kim Myung Soo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중숙(신라대학교) | Lee Joong Sook (Sill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