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 정서경험척도의 타당화와 성취목표성향과의 관계 KCI 등재

The Validity of Emotion Experience Scal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최근 개발된 체육수업 정서경험 척도(김동환, 이병준, 2010)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둘째 체육수업 정서경험과 성취목표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00중학교에 재학중인 38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체육수업 정서경험 척도와 성취목표성향척도를 사용하였다. SPSS 12.0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Amos 18.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은 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에 비해 행복, 희망, 자부심, 부러움, 동정, 안도, 감사를 많이 경험하고, 수치심은 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이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 두려움, 슬픔, 죄책감 요인에는 만족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행복, 희망, 자부심, 분노, 동정, 안도, 감사를 많이 경험하고,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수치심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려움, 슬픔, 부러움, 죄책감 요인은 성적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제목표성향은 희망, 자부심, 안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부심, 분노, 수치심, 부러움, 안도감이 높고 죄책감이 낮을수록 자아목표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부러움을 많이 경험하는 학생들은 자아목표성향이 감소하고, 성적이 높은 집단에서 안도감은 자아목표성향과 과제목표성향 모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체육수업정서경험척도의 타당화와 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개별정서가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관하여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validity Emotion Experience Scal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ESPEC, Kim & Lee, 2010), second to explore causal relationship emotion exper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do this, EESPEC and AGOS(Achievement Goal Origination Scale) completed by 389 voluntary students from several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Seoul.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ANOV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or path analysis was conducted by AMOS 18.0 program. As the results, first students of a high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compared with low students revealed significant high in emotion of happy, hope, envy, pride, pity, relief and gratitude, and significant low in emotion of shame, envy. but anger, guilt, anxiety, sorrow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students of a high gra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compared with low students revealed significant high in emotion of happy, hope, pride, anger, pity, relief, and gratitude and significant low in emotion of shame. Third, in relationship of emotion experience and goal ori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t revealed that the more high hope, pride, relief were the more high task goal orientation, the more high pride, anger, shame, envy, relief were the more high ego goal orientation, and the less guilt was the more ego goal orientation. Forth, the students of low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revealed that the more envy, the less was ego-goal orientation, and the students of high poi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revealed that the more relief was the more task and ego goal orientation. How emotions experienc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or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체육수업 만족도와 성적에 따른 정서경험과 성취목표성향의 차이
  2. 체육수업 정서경험과 성취목표성향의상관관계
  3. 체육수업 개별 정서경험과 성취목표성향과의 인과관계
 Ⅳ. 논 의
  1. 체육수업 정서경험 척도의 타당화
  2. 체육수업 정서경험과 성취목표성향과의 관계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동환(고려대학교) | Kim Dong-Hwan (Korea University)
  • 전용진(인천대학교) | Jun Young-Jin (Sangam High School)
  • 이병준(고려대학교) | Lee Byoung-Jun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