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 스트레스와 무용 자신감의 중재변인으로서 스트레스 강인성의 역할 KCI 등재

Role of Stress Hardness as Moderate factor between Dancing Stress and Confid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3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스트레스 강인성을 무용 스트레스와 무용 자신감 사이에 투입하여 중재역할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무용 스트레스에 따른 자신감 감소에 스트레스 강인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에 204명의 남녀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을 목적표집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SEM분석을 통해 연구모형, 수정모형, 최종모형의 모형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는 외형적 능력 자신감과, 운동실천 요인이 모형 적합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삭제되었으며, 수정모형에서는 가설에 부합하는 경로를 보여주었으나, 적합도 승인지수가 누락되어, 적합도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M.I지수를 고려하여 최종모형을 구성하였다. 최종모형은 지도자에 대한 불만과 무용 성취결여 스트레스는 내재적 자신감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스트레스 강인성이 매개한다면 무용 자신감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스트레스 강인성은 무용 스트레스와 무용 자신감의 중재역할로서 타당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대해 모형 수정 절차 및 변인 간 관계를 포괄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possibility of moderate role for stress hardness concretely, verifying the role of stress hardness on decreasing confidence according to the stress that high school dancers may experience, between dancing stress and dancing confidence, concretely, verifying what is role of stress hardness on decreasing confidence in accordance with dancing stress tha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experience via analysis of SEM. Thus, we collected subjects with 204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identifying goodness of fit model of study, modified, and final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 As a result of analysis, in study model external ability of confidence and promoting of exercise were deleted as factors that hinder goodness of fit model, Although in modified model there showed corresponding path with hypothesis, with considering M.I index to increase goodness of fit model composed final model because confirming index of goodness of fit was omitted. In spite of result of Final model that decline in internal confidence by coach dissatisfaction and lack of dancing achievement, it showed that dancing confidence was improved if stress hardness mediated. Consequently, it indicated that stress hardness is a valid factor as moderate role of dancing confidence and dancing stress. Therefore, we comprehensively discussed 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procedure of modified model about these results.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결 과
  1. 무용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강인성 및무용 자신감의 구조적 관계 : 연구모형
  2. 무용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강인성 및무용 자신감의 구조적 관계 : 수정모형
  3. 무용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강인성 및무용 자신감의 구조적 관계: 최종모형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승순(삼육대학교) | Park Seung-Soon (Sahmyook University)
  • 유정인(고려대학교) | Yoo Jung-In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