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현행 악취공정시험방법에 나타나있는 공기희석 관능법을 사용하여 물질농도와 희석배수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피온산, 뷰틸산, 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에 대한 물질농도와 희석배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규제치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1. 판정인에 의해 측정된 대상물질의 물질농도와 희석배수의 상관관계는 식 Log C = Af·Log D + 0.5에 의해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총 22종의 지정 악취물질별 상관관계식의 기울기 값의 범위는 0.9023~1.2012으로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가 가장 작고, 뷰틸알데하이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물질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희석배수 15와 20에 해당되는 물질농도와 최소감지농도와의 비를 구한 결과, 각 물질의 농도비가 희석배수 15 및 20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 물질별 관계식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물질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희석배수 15와 20에 해당되는 물질농도와 현행 물질농도 기준치와 의 비교를 통하여 기준치의 적정 수준 여부를 검토 해본 결과, 프로피온산과 뷰틸산의 경우는 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과 뷰틸알코올의 경우 물질농도 기준치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 악취방지법의 부지경계선에서 복합악취 농도 규제기준에 대한 개선방안 및 지정악취 물질들의 물질농도와 악취강도, 희석배수간의 상관관계 및 특성연구 등의 기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ratio)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for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For the measurement, 18 panelists were selected using several criteria through a panel test. Panelists chosen for their closely similar sensitivities provided more reproducible values.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a dilution factor for the 22 compounds, including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log C = Af ·logD + F (Af : material constant, F : constan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for the dilution factors 15 and 20 divided by the odor threshold values were close to 15 to 20, respectively, and the regression can be relevant. Those concentrations for the dilution factors 15 and 20 obtained from the regression were comparable to to the concentration standard.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ncentration standards for propionic acid and n-butyric acid showed a relatively low level, while the standards for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showed the proper leve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used as the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 on site boundaries in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