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에서 학습양식 개념구조의 타당도 검증 KCI 등재

Examining a Cross-validity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Learning Style Scale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습 상황에서 개발된 GRSLSS(Riechmann & Grasha, 1989)를 체육수업 맥락으로 적용시켜 영역 특수적인 학습양식 척도의 개념적 구조를 검증하는 것이다. 1,266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체육수업 맥락에서 6가지 학습양식(장독립적/장의존적, 회피적/참여적, 협력적/경쟁적)의 개념적 구조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6요인 39문항으로 구성된 체육 학습양식 척도의 시간적 안정성과 내적동기를 이용한 예측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성별과 학년급간 구인 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성별간 잠재평균 차이가 장의존적 요인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에서 나타났다. 본 결과는 기존의 학습양식에 관한 결과와 교육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onceptual structure of domain-specific learning style scale which modified GRSLSS (Riechmann & Grasha, 1989) developed in general learning contexts in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texts. 1,266 boys and girls second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or analyzing data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conceptual constructs of six learning styles (field-independent/field-dependent, avoidant/participant, collaborative/competitive) existed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Both temporal stability of learning style scale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consisting of six factors with thirty-nine items and its predictive validity using intrinsic motiva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s were identified and the differences of latent mean were existed in all sub-factors except field-depende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results of learning style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탐색적 요인분석
  2. 신뢰도 분석
  3. 타당도 평가
  4. 모형의 구인 동등성과 잠재평균 비교
 Ⅳ. 논 의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승재(강원대학교) | Kim Seung-Jae (Kangwon Natl University)
  • 이경환(샛별중학교) | Lee Kyoung-Hwan (Saetbyol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