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숙련성과 리듬구조에 따른 정서적 걷기의 신체 표현력 차이 KCI 등재

A Difference of Bodily Expression from Emotional Walking on Expertise and Rhythm Stru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슬픔 정서의 걷기 동작 분석을 통해 숙련성과 리듬구조가 신체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신체 표현 학습 경험이 전혀 없는 무경험자 12명과 무용 경력 10년 이상의 경험자 12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슬픔 정서가 나타난 걷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행의 착지와 청각 정보가 일치하는 동조 리듬구조 조건과 보행의 착지와 착지 중간점에 청각 정보가 일치하는 비동조 리듬구조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걷기 표현력 분석을 위해 라반의 움직임 요소 중 무게 요소와 시간 요소가 이용되었다. 세부 변인으로 무게 요소 분석을 위해 착지 시 최대 수직지면반력값이 활용되었고, 시간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보행 지지시간이 활용되었다. 무게 요소 분석 결과, 경험자 집단이 무경험자 집단에 비해 적은 수직지면반력값이 나타났다. 리듬구조 측면에서 살펴보면 경험자는 비동조 리듬구조에서 적은 힘값을 보인 반면, 무경험자는 동조 리듬구조에서 적은 힘값을 보였다. 시간 요소 분석 결과, 경험자 집단이 무경험자 집단에 비해 긴 지지보행시간을 보였다. 리듬구조 측면에서 살펴보면 경험자는 비동조 리듬구조에서 더 긴 보행 지지시간을 보인 반면, 무경험자는 동조 리듬구조에서 더 긴 보행 지지시간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게 요소와 시간 요소가 정서적 보행에 있어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보이는것으로써 향후 움직임 표현 학습법을 구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and rhythm structure by analyzing expressive walking based on sadness emotion. 12 experience dancers and 12 non-experience dancer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2 different rhythm structure conditions were applied; syncronized and syncopated rhythm. For the experimental task, the subject performed an upward and downward right arm movement while flexing and extending the lower limbs. To analyze the weight expression and time expression, maximum ground reaction force and gait tim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weight expression, the experience group showed smaller maximum ground reaction force than the non-experience group. Specifically, in terms of rhythm structure, the experience group showed more controlled performance in syocopatepd rhythm however, the non-experience group more showed controlled performance in syncronized rhythm. In terms of time expression, the experience group showed longer gait time than the non-experience group. Specifically, in terms of rhythm structure , the experience group showed more stable performance in syocopatepd rhythm however, the non-experience group more showed stable performance in syncronized rhythm. It represented weight and time expression factors were evaluated by ground forcne movement timing and coordination pattern were primary factor for evaluating expertise.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과제 및 도구
  3. 실험절차
  4. 자료 산출 및 분석
 Ⅲ. 결 과
  1. 숙련도와 리듬구조 따른 무게 요소 분석
  2. 숙련도와 리듬구조에 따른 시간 요소 분석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강명수(서울대학교) | Kang Myung-Su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수연(서울대학교) | Kim Soo-Yeon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