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과 코치-선수 관계에서 코칭열정과 직무열의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KCI 등재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assion and Job Engagement in Coach Burnou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코치-선수의 관계에서 열정과 직무열의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코치-선수 관계, 열정, 직무열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화열정은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코치-선수 관계는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은 조화열정을 감소시키지만, 조화열정은 직무열의를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는 코치선수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과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코치선수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하였지만, 두 매개변인은 번아웃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를 억제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of passion and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ach-athlete perceived by coaches in sport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athlete coach in South Korea through the survey.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questionnaires on the athlete coach’ burnout, coach-athlete relationship, passion, and job engagement that were designed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testing, and serial multiple mediator effect test. Results: First, burnout of the coache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ssion and job engagement, while pa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engagement. An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on and job engagement. Second, the burnout perceived by the coaches decreased passion, but passion increased job engagement and job engagement improve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Conclusion: The burnout of the coaches was shown to make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negatively through passion and job engagement. However, the two mediation variables were identified that could sup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및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2. 매개효과 분석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이강헌(창원대학교) | Kanghun Le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근철(미시간주립대학교) | Keunchul Lee (Michigan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