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의 코칭 언어에 따른 축구선수들의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이 연령(중등·고등·대학), 선수경력, 경기출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코칭 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의 요인 간 관계를 확인하여 축구선수들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축구선수 80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7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중등: 278, 고등: 218, 대학: 302). 설문지 구성내용은 총 58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3문항, 코칭 언어 20문항, 팀 응집력 18문항, 운동 만족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과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칭 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이 연령, 경력, 경기출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지도자의 코칭 언어가 선수의 팀 응집력과 운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칭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은 연령, 선수경력, 경기출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 선수의 경우 지도자의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질문 언어, 긍정 언어, 관리 언어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등학생 선수의 경우 코칭 언어인 질문 언어, 관리 언어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 선수의 경우 코칭 언어인 질문 언어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 선수의 경우 지도자의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질문 언어가 운동 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등학생 선수의 경우 지도자의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긍정 언어가 운동 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 선수의 경우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긍정 언어, 부정 언어, 관리 언어가 운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축구 지도자들의 코칭 언어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효과적인 축구 지도방법에서 코칭 언어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aching language of coach on the team cohesiveness of the soccer players and the exercise satisfaction,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career. Method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805 national soccer players. Among them, total 798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iddle school: 278, high school: 218, university: 30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and AMOS 21 programs. The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aching language,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age, caree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n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coaching language, team cohesiveness, and exercise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age, athlete career, and competition. Second, coaching language,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were correlated. Third, in the cas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coaching language of the leader, the question language, the positive language, the management language, the question language of the coaching language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anagement language, Respectively. Finally, in the case of junior high school athletes, explanation language, question language, coaching language, positive language, coaching language which is coaching language, affirmative language, negative language, management language were found to affect player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soccer leaders' coaching language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aching language in effective soccer teaching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