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심리학의 이론적 모형과 실증적 지식 및 미래 연구방향 KCI 등재

Theoretical Models, Empirical Knowledges &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Exercise Psych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운동심리학의 연구 동향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개괄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 초까지 스포츠심리학은 운동선수의 수행력 향상에 주된 관심을 가졌었다. 그러나 이후일반인들의 운동참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운동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운동심리학은 연구 활성화를 기반으로 독자적 패러다임을 가진 영역으로 학문적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운동행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운동심리학의 모학문이나 인접학문에서 개발된 여러모형들의 적용과 검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기효능감 이론은 운동심리학 분야에서 가장많이 활용된 모형 중 하나로서 운동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운동행동 변화의 단계성과 단계에 따른 효과적인 중재전략에 초점을 맞춘 변화단계이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운동행동을 환경적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사회생태학적 모형도 운동심리학 연구에서 서서히 부각되고 있다. 운동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관련 연구들은 운동이 다양한 심리적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임상에서도 치료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운동의 임상효과를 극대화하고 이에 따라 운동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current paper was generally discussed the research trend and task in exercise psychology based on the related previous studies. Until the beginning of 1990s sport psychology aimed at enhancing athletes' sport performance. However, after that time interests in exercise psychology which is focused on promoting quality of life through individual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adherence has been gradually diffused. Accordingly, exercise psychology has become an unique discipline along with increase in the related studies. Today, it is witnessed that application and test of various models developed in pure psychological discipline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explain individual's physical activity behavior. Specially, self-efficacy theory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applied models in exercise psychology has been contributed to understand and explain exercise behavior. More recently, transtheoretical model which is focused on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and stage-matched intervention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behavior, and moreover social ecological model indicating that physical activity should be more effectively explained by interaction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s been applied frequently in exercise psychology.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the authors indicated various psychological benefits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in particular demonstrated the clinic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s behavioral medicine to cure anxiety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further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real physical activity field to identify better appropriate psychological models which associate with physical activit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운동심리학의 학문적 자리매김
 Ⅲ. 주요 이론모형과 심리적 변인
  1. 자기효능감 이론
  2. 합리적/계획된 행동이론
  3. 변화단계 이론
  4. 사회생태학적 모형
 Ⅳ. 운동의 심리적 효과와 기전
  1. 운동과 인지기능
  2. 운동과 기분상태
  3. 운동과 성격: 자기존중감
  4. 운동의 심리적 효과 기전과 연구방향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영호(서울과학기술대학교) | Kim Young-Ho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Korea University)
  • 김경원(서원대학교) | Kim Kyung-Won (Seowon University)
  • 류호상(영남대학교) | Yoo Ho-Sang (Ye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