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산연습에서 24시간 휴식간격의 수가 동작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Number of a 24-hr Rest Interval between Practice Sessions on Motor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분산연습에서 연습시간들 사이에 제공된 휴식간격의 수가 동작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조사하였다. 36명의 피험자들은 분산연습에 포함된 휴식간격의 수에 따라 세 집단에 무작위로 배치되어골프퍼팅 과제를 연습하였다. 첫 번째 집단은 1회 휴식집단으로 퍼팅을 첫날 120회 실시한 후 24시간의 휴식을 취하고 다음날 나머지 120회를 실시하였다. 2회 휴식집단은 첫날 퍼팅을 80회 시행하고 24시간의 휴식 후 80회를 그리고 다시 24시간의 휴식 후 나머지 80회를 시행하였다. 3회 휴식집단은 하루 60회씩연습시간을 네 번으로 나누어 그 사이 세 번의 24시간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휴식간격의 수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24시간 후에 60회의 파지검사 시행이 주어졌다. 분석결과, 3회 휴식집단은 습득과 파지단계에서 가장 우수한 수행을 나타냈고 1회 휴식집단은 가장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2회 휴식집단도 유의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1회 휴식집단보다 우수한 습득과 파지수행을 나타냈다. 이결과는 연습시간들 사이의 휴식간격의 길이와 함께 제공된 휴식간격의 횟수가 분산연습의 효과를 결정짓는 주요 학습 변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연습시간들 사이에 24시간 간격의 휴식시간의 수가 부가될수록 첫 번째 휴식시간 동안 기억 공고화 작용이 일어나고 그리고 부가된 연습시간과 휴식시간 동안 기억흔적의 재활성화와 재공고화 작용들이 일어나 기억과 학습 효과는 더 커지는 것처럼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umber of a rest interval interpolated between practice sessions on learning of a golf putting skill. Thirty-six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hat differed in the number of a 24-hr rest interval between practice sessions. In the first group participants took a 24-hr rest between two practice sessions. The second group took two 24-hr rests between three practiced sessions. The third group took three 24-hr rests between four practice sessions. The group with three rest intervals reveal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24-hr retention test than the group with a rest interval. The group with two rest intervals also showed better retention performance than the group with a rest interval although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a significanc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as well as the length of a rest interval interpolated between practice sessions can be a learning variable that decides the effect of a distributed practice. The learning effect observed in the multiple rest group may be attributable to the consolidation process during the first rest interval and reactivation and reconsolidation processes during the additional practice sessions and rest interval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습득단계
  2. 파지단계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고영규(서울여자대학교) | Ko Young-Gyu (Seoul Women's University)
  • 고하나(서울여자대학교) | Ko Ha-Na (Seoul Women's University)
  • 서예원(서울여자대학교) | Seo Ye-Won (Seoul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