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이 치매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전 연구 KCI 등재

The effect of a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 (Rehaco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using Daily Instrumental Activities :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을 노인성 치매 환자에게 적용 시 집중력, 기억력 변화정도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중 전화걸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MMSE-K 점수 18점 이상 24점 이하인 8명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 2회, 각 회기당 20분씩 총 8회를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를 통하여 K-DRS, CNT, 비디오 분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신뢰도 분석방법을 통하여 비디오 분석에 대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윌콕슨 쌍대비교(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통해 K-DR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17). 또한 CNT 중 visual span의 경우 정방향 맞은 개수(p=.38)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디오 분석을 위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 본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전화걸기의 치료 전-후의 변화에서 전화 걸기 수행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 훈련은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 중 전화걸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인지치료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감퇴의 진행 완화나 치료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the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s (Rehacom) was applied to patients with senile dementia, concentration, memor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at the variation of the dialing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Methods :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MMSE-K scored more 18 points and less than 24 points carry out 2 times a week. A total of eight times for 20 minutes each. A single group before &after the test design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undergoes through the K-DRS, the CNT, and the video analysis. Evaluate the difference through the video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search on how to evalu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Results :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through the K-D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17). In addition, visual span forward of the right CNT count (p=.38)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lay video analysis of phonetic reading finds out the results for the inter-rater reliability study showed higher reliability.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before dialing - even after the changes done in the di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
Conclus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 (Rehacom) training showe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had improved. Therefore, the treatment can decline the progression of dementia and relieve the patient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과정
  3.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III.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K-DRS 점수 변화
  3. 연구자간 신뢰도 검정
  4. 기억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함민주(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am Min-J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황윤희(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wang Youn-He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엄숙(대전재활병원) | Um, Suc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ospital for the Elderly)
  • 오은정(예산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 Oh Eun-Ju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Yeasan)
  • 전병진(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Jeon Byoung-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 박헌경(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Park Hun-Ky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교신저자
  • 김도훈(국민건강보험공단 성북지사) | Kim Do-Ho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 Seongb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