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HK-T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편마비 아동에게 나타나는 효과를 증명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기초선 자료는 ROM. MMT를 평가하여 시행 하였으며, 팔의 두께를 줄자로 측정하였다. 체온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 체온계를 사용하였다. 추가적인 사항은 임상적 관찰에 의해 관찰된 내용을 기록하였다. ROM, MMT, 팔의 두께 측정 자료는 치료 시행 전과 후에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체온 측정에 사용한 기초선 자료는 치료 시행 전 3회기 동안 측정하였고, 치료선 자료는 치료 시행 후 기초선 자료에서 시행하였던 평가방법을 반복적으로 다시 측정하였다. 2009년 12월부터 1월까지 5주 동안 새로 개발된 치료 프로그램으로 치료가 시행하였고, 치료 회기는 하루 30분 주3회 12회기로 진행하였다. 기초선 자료는 치료 시행 전 3회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자료는 표와 그래프로 제시 하였고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 결과: 임상적 관찰 결과 많은 변화를 보였다. ROM과 MMT 움직임의 질도 대상자에서 큰 향상을 보였다. 특히 대상자의 팔의 두께가 양측이 비슷하게 성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치료시행 하였을 때 이마, 손, 발 부분에서 많은 체온 변화를 보였다.
◉ 결론: HK-치료 운동을 실시한 대상자의 운동 능력과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향후에는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을 노인성 치매 환자에게 적용 시 집중력, 기억력 변화정도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중 전화걸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MMSE-K 점수 18점 이상 24점 이하인 8명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 2회, 각 회기당 20분씩 총 8회를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를 통하여 K-DRS, CNT, 비디오 분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신뢰도 분석방법을 통하여 비디오 분석에 대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윌콕슨 쌍대비교(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통해 K-DR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17). 또한 CNT 중 visual span의 경우 정방향 맞은 개수(p=.38)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디오 분석을 위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 본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전화걸기의 치료 전-후의 변화에서 전화 걸기 수행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 훈련은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 중 전화걸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인지치료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감퇴의 진행 완화나 치료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지각 능력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대전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학년(평균연령= 89개월, SD= 7.49)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쓰기 능력은 글쓰기 숙달도 선별 질문지(HPSQ), 시지각 능력은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 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결과: 연구 결과 글쓰기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명료도는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속도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시지각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비운동성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에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비교에서는 1학년이 2학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글쓰기 능력과 비운동성 시지각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명료도는 전반적인 시지각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에서는 글쓰기 명료도는 시각운동통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수행시간과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년이었다. 하지만 안정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초등학교 저학년의 글쓰기 능력 훈련에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