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외재적 피드백의 제공형태에 따른 골프퍼팅 기술의 학습효과 KCI 등재

Learning effects of golf putting skill on presentation type of intrinsic and extrinsic feedbac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재적 피드백과 내․외재적 피드백을 혼합하여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피드백 제공형태와 실제 골프퍼팅 학습상황에서 학습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혼합 피드백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근본적으로 빈도에 따른 안내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종속변인은 절대오차, 가변오차, 전체오차로서 습득단계와 즉각, 지연파지 검사를 통해 골프퍼팅의 정확성과 일관성,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중학교 남학생 50명으로, 각 각 G1(외재적 피드백; 언어30% KR), G2(외재적 피드백; 언어100% KR), G3(혼합피드백; 시각 30%+ 언어30% KR), G4(혼합피드백; 시각 100% + 언어 100% KR), G5(통제 집단) 집단에 10명씩 무선배정 되었다. 실험설계는 습득단계의 경우 분단을 반복 측정하는 5(피드백 조건)×6(분단)요인설계, 파지단계의 경우 5(피드백 조건)× 2(분단) 요인설계하에 이루어 졌다. 정확성과 일관성 그리고 성취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절대오차, 가변오차, 전체오차의 분석결과, 언어 30%KR, 100% KR, 혼합 30%, 100% 집단은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 우수한 수행과 학습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집단간에 직접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외재적 피드백은 습득단계에서 100% 조건이, 파지단계에서는 30% 조건이 우수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안내가설로 설명될 수 있는 결과였다. 셋째, 통제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혼합적 피드백은 습득단계에서 100% 조건이 우수하였으나 파지단계에서는 오차에 따라 100% 혹은 30% 조건이 우수한 경향이 나타났다. 파지단계에서 100% 조건이 30% 조건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인 것은 안내가설로 설명될 수 없는 결과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guidance hypothesis by providing different type of relative frequency of feedback. In order to verify the guidance hypothesis, all experiments were reported in which the effects of variation(absolute error, variable error, total variability, acquisition phase, immediate and delayed retention test) in accuracy, consistency and achievement of golf putting task were examined. All subjects(n=50) of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experimental conditions; G1(extrinsic feedback; 30% verbal KR), G2(extrinsic feedback; 100% verbal KR), G3(mixed feedback; 30% vision + 30% verbal KR), G4(mixed feedback; 100% vision + 100% verbal KR), and G5(control group).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5(feedback condition) × 6(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at acquisition phase, and 5(feedback condition) × 2(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at retentio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 In total analysis of AE, VE, and CE, there were high performance and learning effects in all experiments group(verbal 30%, 100%, vision 30%, 100%)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directly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s group. (b)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xtrinsic feedback showed that 100%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at acquisition phase but 30%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at retention phases. this results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guidance hypothesis (c)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ixed feedback showed that 100%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at acquisition phase and according to error, 100% or 30% condition was effective at retention phases. this results was not explained by a guidance hypothesis.

저자
  • 이한우(연세대학교) | Han Woo Lee 교신저자
  • 김상규(강릉대학교) | Sang Gyu Kim
  • 김건(강릉대학교) | G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