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 교사의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regarding guidance for immigrant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43
  • DOIhttps://doi.org/10.14328/MES.2018.9.30.2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 공교육의 현장에서 중도입국학생들의 생활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현직 담임교사들의 경험을 연구하여, 그들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고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진술을 체계적인 의미구조로 전환하고 총체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학급 담임교사로 교육경력이 5년 이상인 30~50세 연령대의 9명으로 구성하였고, 총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개인별 심층 인터뷰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최 종적으로 842개의 의미 단위, 32개의 하위구성요소, 10개의 핵심구성요소,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도움추구와 좌절’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문화적 차이 인식’과 관련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대처하고자 초등 교사들은 ‘개입과 기다려 줌’을 반복하게 되었다. 넷째, 초등 교사들은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의 결과로 ‘새로운 교사상을 탐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년 단위로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초등 교사들이 경험하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 경험의 본질에 접근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초등 교사들을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 교사 교육 및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periences of in-servic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guidance for immigrant students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To delve into this, phenomenological research, one of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is implemented for analysis. The statements of teachers in charge of guidance for immigrant students were organized into systematic semantic stru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pursuit of help, but at the same time, despair.”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 Third,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existing in providing guidance for immigrant stud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eatedly used “interventions and waiting.” Fourth, as a result of providing guidance for immigrant stud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loring “the new ideal of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difficult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facing, design and implement guidance for immigrant students, and approach the essence of their experience. Also,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deavoring to get over those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regarding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 not to mention those regarding teacher training, and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도입국학생
  2. 교사의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
 Ⅲ. 연구방법
  1.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1.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의 상황적 구조 기술
  2. 중도입국학생 생활지도 경험의 일반적 구조 기술
 Ⅴ. 논의 및 제언
  1. 결론 및 논의
  2. 제언
 국문요약
 참고문헌
저자
  • 이정희(남양초등학교) | Jeong-Hee Lee (Namyang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author
  • 김희수(한세대학교) | Hee-Sue Kim (Ha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