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이 어떠한 전략으로 자기관리를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명의 남녀 국가대표선수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 방법과 절차에 준하여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총 528개의 의미 있는 원자료는 56개의 1차 범주, 36개 2차 범주, 6개의 차원으로 제시되었다. 국가대표 선수들의 자기관리는 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생활관리, 대인관계관리, 고유행동관리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몸관리는 음식조절, 부상예방과 치료, 체중조절 등 7개 범주가 나타났고 정신관리는 의지력, 긍정적인 사고, 자신감, 목표를 위한 노력 등 10개 범주가 나타났다. 훈련관리는 체력훈련, 계획적이고 규칙적인 훈련 등 6개 범주, 생활관리는 술담배 자제, 생활절제 등 4개 범주, 대인관계관리는 좋은 관계를 위한 노력과 절제된 대인관계 등 5개 범주, 마지막으로 고유행동관리는 자기만의 행동과 따라 배우기 등 4개의 범주가 제시되었다. 6개 차원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정신관리였으며 다음으로 몸관리, 대인관계관리, 훈련관리, 생활관리, 고유행동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자기관리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자기관리를 잘했을 때는 자신감과 기분에 긍정적인 효과를, 안되었을 때는 불안과 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우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였고, 운동선수 자기관리 이론 생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론적, 방법론적, 실천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 depth what strategies South Korean national athletes utilize in self-management. Results were extracted from collected data of researchers' direct,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female and male athletes, an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rom the total 528 meaningful resources, there were suggested to be 56 in first class, 36 in second class, and total six classes. The self-management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physical conditioning, mental readiness, training management, daily living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personal routine management. Physical conditioning was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food control, injury prevention, treatment, weight control and more. Mental readiness was divided into ten categories, will power, optimism, confidence, effort and more. Training management was categorized into six, physical training, planned, regular training and more; daily living management in four categories, reducing drinking and smoking, self-restraint and m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in five categories, effort to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moder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ore; and finally personal routine management in four categories, personal activities and learning by imitating. Out of the six classes, mental readiness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physical conditio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daily living management, and personal routine management in order. Additionally, positive eff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were presented. When self-management is well executed, confidence and positive effect on emotions are anticipated, when not well executed, insecurity and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s are anticipated. Su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applied as vital information in forming self-management theories, and were discussed related to various form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