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related potentials in response to participant's task and ego orientation
본 연구는 P300의 수행에서 성취 목표설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21명의 남자 대학생이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Duda & Nicholls, 1989)를 성창훈(1995)이 한국어로 번안한 질문지를 통해 성취목표성향을 조사하여 이중 24명의 연구대상자를 선별하여 과제지향 집단(12명)과 자아지향집단(12명)에 할당되었다. P300의 자료는 12명의 과제지향 집단과 12명의 자아지향 집단을 비교하여 얻었는데,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하여 연구대상자는 목표자극이 제시되었을 때만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뇌파는 Fz, Cz, Pz 그리고 O1에서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과제(2)×영역(4)×자극(2)의 3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factorial ANOVA)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P300을 분석한 결과 과제지향 집단이 자아지향 집단보다 P300의 진폭이 더 크고,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과제지향 집단이 자아지향 집단보다 더 많은 주의와 더 빠른 반응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P300. One hundred twenty one 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8-22 years completed the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Duda & Nicholls, 1989) that translated into Korean by Seong (1995). Twenty four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1) task orientation group (n=12) and (2) ego orientation group (n=12). P300 data was obtained by comparing two experimental groups. A total of 200 pictures (40 target stimulus and 160 standard stimulus) were randomly presented via monitor, and then participants pressed a button to indicate the target stimulus.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collected from the Fz, Cz, Pz, and O1 location were used to assess the latency and the amplitude of P300. The data analysis results of 3-way factorial ANOVA [task(2)×electrode site(4)×stimulus(2)] for P300 indicated that the task orientation group produced larger P300 amplitudes and shorter P300 latencies than the ego orientati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sk orientation group is more attention and faster response time than the ego orientation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