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KCI 등재

Developement of the Physical Self-Concept Scale for the You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1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청소년이 자신의 신체 상태와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개발된 도구에 의존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우리나라의 청소년의 관점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항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의 일반 청소년과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질적인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와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대표하는 10개의 하위 요인을 선정하였다. 80문항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여 1차 검토를 한 후에 수정, 삭제의 과정을 거쳐 50문항으로 구성된 예비판을 제작하였다. 440명의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 8요인 35문항으로 구성된 최적의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내적일관성과 재검사법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한 결과 일관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선수와 일반학생 사이,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예상했던 방향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를 입증하는 결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완성한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는 앞으로 청소년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유도할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동의 효과를 진단하는 지표로 널리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 to assess physical self-concept of the youth. Ten potential dimensions of physical self-concept were identified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ey included physical attractiveness, body fat, sport competence, health, physical activity, endurance, flexibility, strength, power, and global physical. Eighty culture-sensitive items representing the 10 dimensions were developed. Item review procedures resulted in 50-item preliminary version.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8 major dimensions of physical self-concept, including physical attractiveness, health, flexibility, physical activity, body fat, strength, sport competence, and endurance. The final version included 35 items representing the 8 dimensions. Data analyses indicated that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acceptab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t indices were marginally acceptable, suggesting further refinement of the items. Students who were more active during leisure time scored higher on most of the dimensions compared to those who were less active. As expected,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were observed. Overall, these results provided initial evidence of validity of the measure of physical self-concept of the youth.

저자
  • 최선인(동덕여자대학교) | Seon In Choi 교신저자
  • 정청희(서울대학교) | Chung Hee Chung
  • 김병준(인하대학교) | Byoung J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