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리에 필요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한국교육종단연구의 8차 조사 데이터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 5,817명 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개념, 정신건강 간 관계를 분 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와 AMOS 25.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 년의 교우관계 (β =.49, p <.05), 부모지원 (β =.251, p <.05), 교사와의 관 계 (β =.194, p <.05) 순으로 자아개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인 또래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나타내주 었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정신건강에 정적영향 (β =.677, p <.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의 관계(β =.034, p <.05)를 제외한 부모지원 (β = -.02, p >.05)과 교우관계 (β = -.02, p >.05)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자아개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3개 변인 모 두 정신건강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친구, 부모,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 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술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는 내밀성 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의 표현 양상과 심리적 표상 방식을 분석 하고자 한다. 내밀성은 개인의 깊은 감정, 생각 및 경험을 포함 하는 심리적 영역으로, 예술작품을 통해 외부로 드러날 수 있 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의 내밀성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예술가들이 내밀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고찰하였다. 하이데거는 내밀성을 존재의 본질이 드러나는 공간으로 간주하며, 존재가 스스로를 나타내는 방식을 강조한다. 바슐라르는 시적 상상력을 통해 사 적이고 은밀한 공간에서의 내밀성을 탐구하며, 예술가들이 자 신의 내면을 어떻게 예술로 형상화하는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이론을 동·서양 예술가들 의 작품 분석에 적용하여, 최북, 마크 로스코, 이우환 등의 예 술가들이 작품을 통해 내밀성을 어떻게 드러냈는지 살펴보았 다. 이들은 예술적 창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존재의 심리적 깊이를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을 통해, 내밀성이 예술가의 심리적 해방과 창작 과정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하며, 현대 예술에서 심리적 깊 이와 자아 탐구의 표현방식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술가들의 창작 과정에 대한 심리적 이해를 높이고, 예술 교육 및 치료 분야에서 내밀성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또한, 예술의 본질적 역할을 재 조명하여 현대 예술의 표현 방식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re are a lot of brand experience in Metaverse. For example, we can participate in Samsung Galaxy Fan party, UC Berkeley graduation class, and even Ralph Lauren store in Metaverse. When the consumers experience such events in Metaverse, they have to use their avatar by making a user name. They have the option of using either their real or fictional name in Metaverse. There are two types of avatar in Metaverse. First, they can use actual self-avatar by using their real name. Second, they can create totally new avatars using made up name. The name is one of the symbols of self. Therefore, we can easily predict that consumer experience with avatar will affect the consumer perception differently. Which type of avatar will then enhance the brand engagement? Results show that the consumer experience with avatars affected brand attitudes differently. Also, the consumer's experience with avatars based on their actual images in the Metaverse affected the positive brand attitude. This study suggests that Metaverse avatars can also let people interact with themselves and with each other in parasocial ways.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avatar in virtual world; consumers experience with avatar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terms of digital trans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나무그림 검사가 비행청소년의 자기개념의 반응을 평가하는 심리검사 도구로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직업훈련소년원 255명이며, 연구도구는 나무그림 검사와 자기개념 척도 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그림 검사의 형식적 반응특성에서 크기 와 위치 및 필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나무그림 검사의 내용적 반응특성에서 줄기와 가지 및 상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나무그림 검사가 비행청소년의 자기개념 수준을 판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서 유용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직업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밝히기 위하여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를 확인한 후,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선정된 직업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대학생에게 배부하여 총 422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엑셀 2019와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치,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성적이고, 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대안영역의 성역할 유형 범위는 3.27점~5.01점, 지위수준은 3.67점~5.29점으로 나타났다. 셋 째, 직업포부는 422명 중 203명(48.1%)이 진로대안영역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대 안영역의 성역할하한선과 성공욕구는 낮은 부적 관계, 지위상한선과 학업 성적, 주변의 기대, 성공욕구는 낮은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포부는 지위수준과 주변의 기대, 성공욕구는 낮은 정적 관계로 나 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es’ Re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3 nurse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at five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S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nurses’ retens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under 25 years of age between 30 and 35(F=3.313, p=.039).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has been identified as an influence factor of intent to serve. Professional self-concepts have been shown to be better with higher peer-care and consideration(r=.397, P=.004). The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behavior can occur not only between colleagues but also between manag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manager's group caring interaction as a follow-up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서비스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 가지 통합연구방법을 통하여 자기관리 구성개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 소재 뷰티 서비스전문가 15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뷰티종사자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질문지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는 건강관리, 대인관리, 외모관리, 기술관리의 지적관리로 4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에서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보다 타당성 있게 지지하고, 뷰티서비스 현장 중심적인 면담 사례들이 심도 있게 다루어져 비대면관리와 지식관리의 2개 속성이 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성공적인 직업인으로서의 생활을 위한 전략 수립과 뷰티 서비스전문가들의 자기관리 측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적 정서조절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자기거리두기의 개념과 측정, 효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자기거리두기(self-distancing)는 자신에게 몰입하는 상태의 반대 개념으로, 자신의 경험을 다룰 때 한 발짝 물러나서 이를 다소 관조적으로 바라보는 행위를 일컫는다. 자신의 경험을 다룰 때 마음속에서 자신과 얼마나 거리를 두는지에 따라 인지적 정서적으로 지각되는 정도가 다르고 이는 사건을 이해하는 정도는 물론 이로 인한 정서의 양상에까지 영향을 준다. 그 간의 많은 연구들에 따르면, 자기거리두기를 많이 하는 것이 개인의 정서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들이 지배적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정리하여 자기거리두기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정리해 보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기거리두기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찰자 관점, 자기반성, 이성적 태도 등의 개념을 통해 자기거리두기가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방향에서 바라보고 접근하게 되는지를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자기거리두 기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또한 짚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거리두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정서적, 인지적, 생리적, 행동적, 발달적 측면에서 세분화하여 소개하였다. 한편, 이 개념으로부터 기대되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반복적으로 검증됨에도 불구하고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도 함께 발견되고 있어 이를 함께 언급하였다. 아울러 자기거리두기가 앞으로 연구되는 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들에 대한 고찰이 함께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가진 학술적⋅실용적 의미들을 짚어보았다.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에서 조직의 5가지 의무들(개발적 의무, 재정적 의무, 사회적 의무, 권한적 의무, 이념적 의무)들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자기개념의 구성요소인 조직기반 자존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 계약과 조직 동 일시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찾고자 했다. 공군 비행단에서 근무하는 조종사 29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념적 의무는 조직기반 자존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하여 완전 매개하였으며, 사회적 의무 이행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부분 매개하였다. 권한적 의무와 재정적 의무는 조직기반 자존감을 통하여 완전 매개하였으나, 재정적 의무는 그 값이 음의 값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정적 의무에 대한 인식 후 개발적, 사회적, 권한적, 이념적 의무에 대한 인식의 프로세스를 발견하였으며, 사회적 의무와 권한적 의무를 결합한 사회권한 의무와 이념적 의무는 조직기반 자존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에 정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의 관계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군조종사들의 조직에 대한 몰입과 관련 변인들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이다.
This paper selects Xi'an and Suzhou as the research objects, uses the methods of questionnaire and situational simulated method to discuss the impact of tourists' perceived destination image and self-concept congruity on intention to visi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independent / interdependent). The Study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the tourists' perceived destination image and self-concept congruity as well as the self-concept congruity dimensions (actual self-concept congruity, ideal self-concept congruity, social self-concept congruity, ideal social self-concept congru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visit; the impact of ideal self-concept congruity is greater than that of actual self-concept congruity; the impact of ideal social self-concept congruity is greater than that of social self-concept congruity; and the ideal self-concept congruity has strongest impact on intention to visit. The Study II found out that: self-construal has moderating effect on this impact; the higher the actual self-concept congruity perceived by the tourists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greater the intention to visit; the higher the social self-concept congruity perceived by the tourists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e greater the intention to visit. The research conclusion has certain reference value for building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understanding of the tourism decision-making of the tourists and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of relevant departments and enterprises.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인권활동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배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유아 16명과 비교집단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자아개념과 배려행동연구를 하였다. 인권 활동은 교실에서 진행이 되었으며, 실험집단은 대집단활동 시 인권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1주일에 2번씩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대집단활동 시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인권에 관한 활동을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인권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유아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인권활동을 실시한 결과, 배려행동의 하위요소인 정서적 행동, 능동적 행동, 규범적 행동, 가치부여적 행동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었다. 영유아의 인권활동이 영유아를 둘러싼 환경속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과 타인을 배려하는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 이러한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현장의 연구노력은 앞으로도 더욱 다양하게 시도되어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erent types of consumers’ self-concept profiles towards nostalgic advertising. Furthermore, two moderators are proposed to enhance two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First, brand heritag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stalgia proneness and nostalgia intensity towards the ad (NIAD). Second, brand experienc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IAD and purchase intention. The effectiveness of nostalgic advertising is also assessed in times of economic slump and political tension.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dopt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s theoretical lens for defining the antecedents and the consequences of the Brand Engagement in Self Concept (Sprott, Czellar, & Spangenberg, 2009). The originality of the study stems in the contest of analysis, that is the international cosplayer community, given the extreme engagement manifestation of the actors of the community in comics characters. Thu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est a model previously proposed by Razmus, Jaroszyńska, & Palęga (2017) in a community of high engagement manifestations, that is the cosplayer community (e.g. dress-up as their own favourite character). Moreover, authors would like to introduce a novel variable that is the brand-self congruity (Aaker, 1997; Sirgy, 1982), able to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spirations (Kasser and Ryan, 1993; 1996),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brand advocacy (Kim et al. 2001) and brand loyalty (Oliver,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s game addiction has an effect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conception was used by medium. Participants were 230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5 and 7 years old. One-hundred eighty surveys, excluding those with omitted or odd answer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using WEB-R 3.0(LAVAAN). The first, as the result indicated, parent’s game addiction affected th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directly. The second, parent’s game addiction affected the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ion. The third,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ion. affected th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Therefore the effort to increase the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ion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최근 각 분야에서 불거지고 있는 거짓과 위선, 그리고 불신들은 우리 사회를 멍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진정성 있는 리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지만, 진성 리더십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 부하의 자아개념과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사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8개 기업의 약 482명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 리더십이 상사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동일시 가 자아개념과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상사동일시는 진성 리더십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며, 상사동일시는 진성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 간의 관계에서도 역시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사의 진성 리더십 의 발휘가 부하의 자아개념과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진성 리더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실무적 시사 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cept, measured by Self Concept Clarity (SCC) scale and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relationships (RISC) scale, and diverse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choice behavior. We hypothesized that lower self-concept clarity and higher relational interdependence would be related to increased susceptibility to choice context–for example, how a choice set is constructed based on one’s initial preference. We examined how variations in a choice set can produce different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making choices, and investigated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 using fMRI.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first rated their preferences for art posters, and made a series of choices from a presented set. After the choice task, they completed post-choice measures including preferences for the chosen posters, as well as measures of their self-concept clarity and relational interdependence. Our behavioral results demonstrated that when participants faced more conflicting choice context, self-concept clarity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choice, whereas relational interdependence was correlated with a lower second-rated attractiveness of the chosen option. The neuroimaging analysis of choice-making reveale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the degree of their relational interdependence served as modulators in shaping how one perceives and experiences the same decision-making process. These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studies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cept on value-based decision making process among diverse choice set context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in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athletic particip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school and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12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lluminate tha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aspects by analyzing how the participation attitude has influence on physical self-concept. The objects of t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