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상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Body Image on Self-Efficacy of College Woman Major in D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1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는 무용 전공 여대생의 신체상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무용전공학생의 무용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무용전공 여대생 300명을 대상으로 신체상과 자기효능감과 관련 질문지를 직접 배부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2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계패키지인 SPSS V.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공(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에 따른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둘째, 신체상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 중 인지된 신체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에서 체중 및 건강관련 신체상은 인지된 신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신체상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 중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에서 체중 및 건강관련 신체상은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높은 신체상을 가진 학생들은 무용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하고 자기효능감이 높아 자신감 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신체상은 무용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self-efficacy of college woman major in d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2 femal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rea.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MBSRQ(1990) for measuring body image and Ryckmam's Scale(1982) for measuring physical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statistical metho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no difference in body image and physical self-efficacy by majors (modern dancing, ballet, Korea dancing). Secondly, Weight-related and health-related body image has significantly influences on perceived physical ability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Thirdly, Weight-related and health-related body image has significantly influences on physical self-expressive confidence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higher body image has positive influenced on self-efficacy of college woman major in dance.

저자
  • 황규자(한양대학교) | Gyu Ja Hwang 교신저자
  • 배진경(한양대학교) | Jin Kyung 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