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제 강점기 노동소설에 나타난 노동문제 유형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Types of Labor Problems in Korean Labor Nove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2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1929년 미국에서 시작된 대공황은 일제 강점기하의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부터 일본의 독점자본세력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상륙하였다. 그 결과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은 일본의 대규모 공장이 건설되었고, 공업단지 건설과정에서 그 지역에 오랫동안 살아왔던 거주민들은 삶의 기반을 잃고 쫓겨나 노동자로 전락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운영하던 가내수공업과 중소기업도 상당수가 도산하였다. 1930년대의 한국 노동소설은 당시의 노동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불경기로 인해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도 악화하였다. 불경기로 인해 재고가 쌓이자 공장주는 공장의 생산 시설을 감축하여 운영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노동자들에게 감원의 위협으로 다가왔다. 감원에서 살아남더라도 임금을 삭감당하거나 노동시간이 증가하는 등 실질적 노동 강도는 더 세어졌다. 또한, 공장주들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동자들을 위한 안전시설에 대한 투자를 제대로 하지 않아 많은 노동자들이 사고로 다치거나 사망하기도 하였다. 한편 여성 노동자들은 남성 노동자들이 겪는 어려움 이외에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상대적인 저임금과 성희롱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유형들이 1930년대 노동소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당대의 노동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동 환경에 대응하여 KAPF 소속 작가들은 노동소설을 통해 노동자들이 다양한 노동자 단체를 활용하여 노동자 조직을 확대하고, 단결과 연대를 통해 회사 측의 부당한 처사에 대항하는 모습을 작품화했 다. 21세기의 한국은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다시 노동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 구조조정, 노조 사찰 및 노조 파괴 공작, 위험의 외주화, 정규직과 비정규직, 성희롱과 기업주의 갑질 등 노동자들의 삶이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1930년대 노동소설에 대한 고찰은 시사점이 크다고 하겠다.

The Great Depression, which began in the United States in 1929, also affected the Korean socie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t that time, the monopoly capital of Japan landed in Korea in earnest. Large-scale industrial parks were built and residents of the area lost their base of life and were displaced and became workers.
The Korean labor novels from the 1930s illustrate the working situations at that time. Due to the depressi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ers got worse. The factories reduced the number of production facilities, and the workers were running a risk of being fired. Besides, their wages were cut down, whereas their working hours increased, resulting in a substantial increase in labor intensity. Factory workers did not have safety facilities and many workers were injured or died in accidents. Female workers, on the other hand, were paid lower wages and suffered more sexual harassments than men.
The authors of the KAPF produced works by workers against unfair practices of companies by using labor unions. In the 21st century, the labor situation is deteriorating again due to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laborers' life is getting harder, the review of labor novels from the 1930s has great implication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노동소설 속의 노동문제
  1. 공업화의 폭력성과 강제 이주
  2. 안전장치의 부족과 사고의 발생
  3. 차별을 통한 노동자 관리
  4. 불경기와 고용불안
  5. 노동조합 조직 방해
  6. 성희롱과 성추행
 Ⅲ. 노동자들의 대처 방식
  1. 조직의 확대
  2. 노동자의 단결과 연대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양윤모(극동대학교) | Yoon-Mo Yang (Professor, Div. of Liberal Arts, Far East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