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화과 추출물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cannula 장착된 한우 암소 1두에서 채취하였으며,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timothy와 농후사료를 6:4 비율로 하였다. 배양액은 Mcdougall buffer 10mL, 위액 5mL 섞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분주하였다. 티모시 0.3g를 각각 넣고 국화과 추출물인 국화, 민들레, 씀바귀, 제비쑥, 해바라기를 기질의 5%를 첨가한 뒤 발효시간대별(3, 6, 9, 12, 24, 48 및 72시간)로 7처리 3반복 수행하였다. 배양액 pH값은 6.29~7.44으로 반추위 적정 pH범위에 속하였다. 건물 소화율은 발효시간대가 늘어날수록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총가스 발생량은 발효 48시간대에서 민들레, 씀바귀, 제비쑥, 해바라기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측정 되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48시간대에서 민들레, 씀바귀, 제비쑥, 해바라기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측정 되었으며, 메탄 발생량도 발효 48시간대에서 민들레, 씀바귀, 제비쑥, 해바라기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측정 되었다.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48시간대에서 제비쑥과 해바라기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발효 48시간대 에서 Acetic acid 생성량이 민들레, 씀바귀, 제비쑥, 해바라기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발효 12시간대에서 Propionic acid 생성량은 씀바귀, 제비쑥, 해바라기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발효 24시간대에서 A/P ratio는 민들레, 제비쑥, 해바라기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해 국화과 추출물 첨가가 반추위 발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나 메탄 발생량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steraceae plant extracts on in vitro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One hanwoo cow, surgically fitted with a ruminal cannula, consuming 0.60 timothy and 0.40 concentrate was used as rumen fluid donor. On fermentation day, the rumen fluid 15 ml of mixture contained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2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Rumen fluid contents were collected and in vitro fermentation and prepared control(timothy hay, 0.3 g), Chrysanthemum, Dandelion, Toothed ixeris,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extracts were added at the level of 5% against 0.3 g of timothy as a substrate(v/w) and incubated for 3, 6, 9, 12, 24, 48, and 72 h. pH values was nomal range to 6.29 to 7.44. The dry matter digestibility can see that the fermentation time increased over time. Total gas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dandelion, toothed ixeris,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reatments than in control on 48 h. Carbon dioxide emission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dandelion, toothed ixeris,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reatments than in control on 48 h. Methane emission we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dandelion, toothed ixeris,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reatments than in control on 48 h.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han in control on 48 h. Acetic acid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dandelion, toothed ixeris,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han in control on 48 h. Propionic acid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oothed ixeris,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han in control on 48 h. A/P ratio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dandelion, masculine wormwood and sunflower treatments than in control on 24 h. As a result, supplementation of the asteraceae plant extracts did not affec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but not effect of reducing the meth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