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KCI 등재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on Trunk Control Ability, Balance, Activity of Daily Living in Acute Stroke Patients: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6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전북 익산 소재의 W 대학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군 모두 일반적인 물리·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동작관찰 체간훈련을, 대조군은 풍경관찰 체간훈련을 각 1일 1회 30 분, 주 5회, 총 3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체간 손상 척도 (Trunk Impairment Scale; TIS),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M-FRT)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된 바델 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을 사용하였다. 결과 : 3주 중재 후, 두 그룹에서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중재 후 두 그룹 간 변화량의 차이는 TIS와 M-FRT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줄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립 훈련기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능동적이고 동적인 체간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on trunk control,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Methods : Fourteen in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who underwent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or the control group, who underwent landscape observation trunk training(n = 7 each).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a 30-min session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a 30-min session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To measure trunk control, balance, and performance capac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Trunk Impairment Scale(TIS),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M-FRT), Berg Balance Scale(BBS), and Korean-modified Barthel Index(K-MBI)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IS, M-FRT, BBS, and K-MBI scores (p<.05). Using change value comparis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TIS and M-FRT scores (p<.05). Conclusion :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trunk control,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trunk control deficits after acute stroke. Therefore, action observation trunk training in standing may be used as a new intervention method to provide active and dynamic training for rehabilitating patients with acute strok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치료 중재
  4. 연구 절차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두 그룹 간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균형,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수준 비교
  3. 두 그룹 간 중재에 따른 체간조절능력,균형, 일상생활활동 변화량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정경만(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물리치료실) | Jung Kyeoung-Man (Dept. of Physic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Hospital)
  • 주민철(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재활의학과) | Joo Min-Cheol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 정유진(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작업치료실) | Jung Yu-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Hospital) Corresponding author
  • 이경화(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물리치료실) | Lee Kyung-Hwa (Dept. of Physic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Hospital)
  • 채수민(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작업치료실) | Chae Su-M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Hospital)
  • 최준완(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물리치료실) | Choi Jun-Wan (Dept. of Physic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