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大韓作業治療學會誌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6권 제3호 (2018년 9월) 10

1.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4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성별·연령별 동질성을 확보하여 분류한 후 실험군은 매일 양손훈련도구와 일반작업치료를 각각 15분간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훈련 제공기간은 주 5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와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를 활용하여 모든 집단에 실시하고 실험군은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수행능력 측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총 3회(훈련 전, 3주후, 6주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 대한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평가결과 수행시간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5) 수행시간은 평가 주차별로 감소하였으며, 오류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MVPT –3에서 실험군은 훈련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5)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인 훈련기간은 3주후와 6주 후 훈련이었다. CMDT에서는 집단과 훈련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 및 평가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상지 기능향상에 효과적인 훈련도구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병실이나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4,200원
2.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타이밍과 운동기능 및 실행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에 거주하며, ADHD 진단을 받은 만 6~12세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타이밍 기능 평가를 위해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운동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 그리고 실행기능 평가를 위해 스트룹 아동 색상 단어 검사와 아동 색 선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이밍과 운동기능 및 실행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ADHD 아동의 타이밍과 운동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타이밍과 BOT-2 영역 중 미세한 손의 조절, 신체 협응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BOT-2 하위 영역에서는 미세 운동 정확성, 양측 협응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ADHD 아동의 타이밍 기능과 실행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타이밍과 스트룹 아동 색상 단어 검사의 단어 점수와 아동 색 선로 검사의 Children’s Color Trails Test(CCTT)-1 점수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타이밍과 운동 및 실행기능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타이밍 평가를 통해 ADHD 아동의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3.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를 번역과정을 거쳐 한국 번역판 CHART를 완성하였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척수손상 환자 100명과 장애가 없는 일반인 100명으로 총 200명이었다.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을 통해 CHART-K를 완성하였고, 국내에 적용하기 위해 예비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는 0.97로 높은 수준을 수립하였으며, 삭제된 문항은 없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에서는 척수손상 환자의 총점수의 평균은 일반인 대상자보다 낮은 점수를 확인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1). 수렴타당도 검증에서 Korean-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524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p<.01).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 .628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검사-재검사 .730~ .992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CHART를 번역하고 국내의 실정에 맞게 CHART-K를 완성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척수손상 환자의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측정하고 기존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4.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참여 평가도구를 고찰하여 여가참여 평가의 동향, 평가 항목 및 측정 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1년부터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Scopus, PubMed, NDSL, 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노인 여가 평가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으로 170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4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4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IV에 해당하는 조사연구가 6편(43%)으로 가장 많았고, 2010년대 이후 연구가 11편(79%)으로 세계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의 여가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였다. 총 14 편의 논문에서 노인의 여가참여 평가를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종류는 5개로 구분되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는 자체 개발문항을 사용한 논문이 8편(57%)로 가장 많았다. 노인 여가 평가 항목은 각 평가도구별 다양한 여가활동이 포함되었고, 크게 여가의 수행 주체와 수행 목적을 기준으로 활동이 구분되었다. 평가의 측정은 14개 연구 중 13개의 연구에서 참여 여부 또는 빈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14편의 연구 중 자체 개발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체 개발 평가는 최근 연구에서 가장 많았다. 노인 여가 평가 항목은 크게 여가의 수행 주체와 수행 목적을 기준으로 활동이 구분되었으며, 측정은 대부분 참여 여부와 빈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의 평가 항목, 측정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여가 탐색 및 참여를 평가 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5,100원
5.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인지 중재 비율을 조절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에 대한 상지기능 변화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중재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1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7명의 실험군은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을, 7명의 대조군은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을 주 3회, 30분씩, 4주간 실시하였고 각 군은 기존에 실시하던 전통적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역시 시행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사전, 사후 평가는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상지기능장애 설문지(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를 사용하였고, 각 군의 중재 전과 후의 차이는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 두 군 간의 중재 후 효과 비교는 맨 휘트니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군은 모두 WMFT, DASH, BB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군의 상지기능 변화량 비교에서는 WMFT의 소요시간과 DASH의 점수에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이 더 많은 변화 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중재기간에 따라 인지 중재 비율을 고려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이 기존의 동작관찰훈련보다 상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동작관찰훈련의 중재 시 인지비율을 고려한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4,300원
6.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 정도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Kwon(2003)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문항을 저자의 동의받아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대상자 일반적 특성과 생명윤리의식에 대한 9개 하위영역, 4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직접 또는 우편을 통해 배부하여 수거하였고 최종 배부된 293부 중 응답의 성실성이 떨어지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72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티-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은 쉐페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들의 생명윤리의식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나, 윤리적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아 의사 결정의 혼돈을 느끼고 있으며 생명윤리에 대한 문제로 갈등을 경험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올바른 생명윤리의식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7.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 수정 및 보조도구 제공이 장애인의 작업수행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과 가정 내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으로 인해 뇌병변과 지체 장애 등급을 받은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캐나다작업수행측정을 통하여 가정 내 중요한 일상생활활동을 선정하고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를 통해 선정된 활동들의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을 파악하고,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가정 내 위험요소를 확인하였다. 가정환경 수정 및 보조도구 제공 중재 전·후의 장애인의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과 가정 내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가정 내 현관, 거실 및 침실, 주방, 욕실, 화장실 공간에서 작업 수행을 실시하는데 중요한 공간으로 선정 되었으며 가정환경 수정 및 보조도구 제공 후의 수행도와 만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에서는 독립성과 어려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 내 위험요소는 전반적으로 감소되었고 특히, 침실과 욕실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다양한 질환을 가진 장애인을 중심으로 작업기반의 가정환경 수정과 보조도구 제공을 통하여 작업 수행 능력을 향상시켰고 가정 내 위험요소를 제거하였다. 장애인의 독립적인 역할을 유지하고 일상생활에서 능동적인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개인의 가정마다 적합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도구 적용을 제안하고 보다 많은 작업 중심의 환경 수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4,300원
8.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전북 익산 소재의 W 대학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군 모두 일반적인 물리·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동작관찰 체간훈련을, 대조군은 풍경관찰 체간훈련을 각 1일 1회 30 분, 주 5회, 총 3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체간 손상 척도 (Trunk Impairment Scale; TIS),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M-FRT)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된 바델 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을 사용하였다. 결과 : 3주 중재 후, 두 그룹에서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중재 후 두 그룹 간 변화량의 차이는 TIS와 M-FRT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줄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립 훈련기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능동적이고 동적인 체간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9.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중심부 암점을 가진 환자에게 한글 기반의 중심외보기 훈련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ABA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설계를 위해 중심부 암점을 가진 2명의 환자에게 훈련 전후 기초선 각 3회기, 중심외보기 훈련은 8회기를 시행하였다. 매회기 훈련 종료 후에 단문읽기속도를 측정하였고, 훈련전과 훈련 후에 일기활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와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를 시행하였다. 결과 : 중심외보기 훈련 결과 대상자 모두의 읽기속도가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2표준편차 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훈련 2-3회기에 큰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일상생활활동 능력에서는 훈련 전후 변화가 없었으나, 읽기와 관련된 활동에서는 의미있는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기반의 중심외보기 훈련 프로그램이 중심부 암점을 갖고 있는 환자의 읽기활동 수행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국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4,200원
10.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15개 기관 기관 내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 총 15개 기관 중 13개 기관의 작업치료사 293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 결과 현실적으로 낮은 수가로 인해 질적인 측면 보다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치료행위와 작업치료사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문성 있는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 있어 개인의 기능과 요구도에 따른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의 적절한 수행이 매우 중요한데, 연구 결과 시범사업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일상생활활동 관련 훈련들은 기본적 일상 생활활동이 대부분으로, 매우 낮은 빈도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점을 본 사업 시행시 반영하여 회복기 재활의 목적과 고유 기능을 명확히 하였을 때 비로소 대상자들의 조기 사회복귀라는 목표를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