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효과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전문병원 1곳과 대학병원에 내원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루 2회 아침, 저녁 식전 30분씩 총 3주 동안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발병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후로 나눠 각 집단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발병기간, 인지기능상태, 구강·비구강 섭취형태에 따른 각 집단 내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정상인 집단에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인지기능, 구강·비구강 섭취 형태에 따라 층화한 결과에서는 발병기간 6개월 미만의 집단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구강섭취를 하는 경우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발병기간, 인지기능, 구강·비구강의 섭취 형태였다.
결론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상태의 정상, 구강섭취하는 대상자에게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자 특성 외에 요소들을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과 더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요소와의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에 대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발병 6개월 이상인 뇌졸중 환자 10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1일 1회, 주 5일, 6주 동안 수행하도록 하였다. 훈련의 1회기는 15초의 휴식기와 5초간의 추적과제를 수행하는 활동기로 구성되며 1회 훈련동안 추적과제를 총 40번 시행하였다. 반면, 대조군의 모든 치료 상황은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제외하고는 실험군과 같았다. 손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훈련 전·후에 개정된 Ashworth 척도, Fugl-Meyer 평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개정된 Ashworth 척도를 제외한 모든 검사에서 훈련 후의 결과가 훈련 전의 결과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대조군은 모든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비교에서 실험군의 훈련 후 손기능 향상이 모든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실시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지지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과 치매 환자에서 사회인지에 장애가 있음을 밝히고 작업치료에서 사회 인지 평가와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은 정상인 18명, 뇌졸중 10명, 치매 10명을 대상으로 질환별로 세 가지 조사도구인‘사회기술척도’,‘ 대인관계기능척도’,‘ 만화상황과제’의 평균점수를 비교하고, MMSE-K의 점수를 기준으로 정상그룹과 인지장애그룹으로 나누어 세 가지 조사도구의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사회인지와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기본적인 인지수준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정상, 뇌졸중, 치매환자 사이에 사회인지 평균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그리고 MMSE-K 점수가 정상그룹이 인지장애그룹 보다 사회인지가 높았다(p<.01). 사회인지는 교육수준과 환자의 나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MMSE-K와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의 주 대상 환자인 뇌졸중과 치매 환자에게서 사회인지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재활의 전문가인 작업치료사는 사회인지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 접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의 능력(capacity)과 수행(performance) 평가치의 신뢰도와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과 MBI(Modified Barthel Index)와의 기준관련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ICF에 경험이 있는 2명의 의사가 FIM과 MBI에 해당하는 항목을 ICF 항목과 연결시켜 10개 항목 중 3개의 범주인 이동, 보행, 자기 관리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모든 평가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ICF의 수행과 능력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급간내상관계수인 ICC(2.1)을 절대적 신뢰도는 SEM(Standard Error Measurement)과 SRD(Small Reference Difference)를 FIM과 MBI, ICF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ICF 능력과 수행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92(.95, .97), .98(.97, .99), SEM은 1.03, 1.09이었으며, SRD는 2.85, 3.02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ICF 능력 평가치는 FIM(r=-.97), MBI(r=-.90)와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ICF 수행 평가치는 FIM(r=-.73), MBI(r=-.69)와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ICF는 FIM과 MBI의 기준 관련 타당도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뢰할만한 기능 평가 도구로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임상 연구나 실험에서 유용한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잡이 굵기 변화에 따라 전완의 회전근력의 최대 힘 효율(peak torque), 총일량(total work), 평균파워(average power)가 각각의 굵기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성인 남성 21명 대상으로 손잡이 굵기는 세 개(13, 16, 19cm)로 나뉘어 Biodex System 3 Pro dynamometer 등속성 근력 검사(isokinetic test)를 통해 각각의 손잡이 굵기에 대하여 2회씩 반복 측정된 측정값의 평균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손잡이 굵기에 대하여 전완의 회내력과 회외력 값들 중에서 최대 힘 효율(peak torque), 총일량(total work), 평균파워(average power)들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최소, 중간 그리고 최대 크기의 손잡이 굵기에 따른 최대 힘 효율, 총일량 그리고 평균파워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최소, 최대 크기의 손잡이 굵기에 비해 중간 크기의 손잡이 굵기에서 최대 힘 효율, 총일량 그리고 평균파워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최대 힘 효율, 총일량 그리고 평균파워를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회외 동작 시 중간과 최대, 최소와 중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최소와 최대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대 힘 효율, 총일량 그리고 평균파워를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회내 동작 시 중간과 최대, 최소와 중간, 최소와 최대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연구 결과 손잡이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전완의 회전근력 변화가 손잡이 굵기 변화에 따라 회내력과 회외력이 최소, 중간 그리고 최대 크기의 손잡이 굵기에서 최대 힘 효율, 총일량 그리고 평균파워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향후 성별에 따른 손잡이 굵기가 전완의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과 양손을 따른 비교 연구하여 적절한 손잡이 굵기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취업여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의 표준점수, 하위검사 요인별 상관관계, 직업프로그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에 걸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에서 직업능력평가를 받은 지적장애인 139명(고용 54명, 미고용 85명)의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 표준점수와 취업여부 확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의 표준점수는 모든 요인에서 취업집단이 미취업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취업여부에 따라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 하위검사들 간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프로그램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취업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지적장애인의 취업여부에는 신경근육발달검사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지적장애인은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 하위검사의 표준점수가 높을수록 취업가능성이 높으며, 취업여부에는 신경근육발달검사 표준점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목적 : 본 연구는 머리 각도에 따른 목뿔위근육의 활성 정도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삼킴 기능 증진을 위한 치료적 적용시 목뿔위근육들이 보다 활성화 되는 자세를 확인하고 이를 치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대전광역시 OO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참가 대상자들을 모집하여, 지원자 중 무작위로 39명의 학생(남 24명, 여 15명)들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프랑크포트 수평면이 지면과 수평이 되는 각도를 기준으로 머리각도 중립 자세(head flexion 0°)를 설정하였으며, 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머리각도 15°하방, 머리각도 15°상방 상태를 확인한 후, 각각의 상태(머리 중립 0°, 머리 굴곡 15°, 머리 신전 15°)에서 3회씩(1회 삼킴 후 10초 휴식) 마른 삼킴과 젖은 삼킴을 시도하였다.
결과 : 마른 삼킴과 젖은 삼킴 모두에서 중립시보다 머리 각도를 15°굴곡하였을 경우 목뿔위근육들이 보다 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머리 각도를 15°신전하여 삼킴을 시도하였을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머리를 굴곡시킨 자세에서 삼킴을 유도하는 것이 좀더 목뿔위근육을 활성화시키고 목뿔의 가동성을 높여, 보다 안전한 식이를 위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단축형 코너스 평가척도를 통해 일반아동에서 ADHD 성향을 나타내는 아동의 분포를 파악하고, ADHD 성향을 나타내는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유치원과 학교를 다니고 있는 7-13세 일반 아동과 부모 420명을 대상으로 2007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단축형 코너스 평가 척도와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모두에게 설문의 취지를 설명하였고, 부모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아동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모두 420부를 배부하여 그 중 229부가 회수되었다(54.5%의 회수율). 일반아동에서 ADHD 성향을 나타낸 아동의 분포비율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일반아동과 ADHD 성향 아동의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의 점수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일반아동에게 단축형 코너스 평가 척도를 실시한 결과 210명 중 33명(15.7%)이 ADHD 성향을 나타냈다. 또한 ADHD 성향을 나타낸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ADHD 성향을 나타내는 아동의 수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ADHD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체계적인 치료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에 ADHD 아동의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치료할 수 있는 전문가(작업치료사)의 개입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학교작업치료 분야를 활성화하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번역판 Sensory Profile에 대한 전문위원회의 검토와 번역 문항이해도 검증을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전문위원회의 면밀한 검토가 이뤄졌으며, 이후 문항이해도를 조사하였다. 3인으로 구성된 전문위원회는 원문과 번역판 Sensory Profile 평가도구를 비교하여 문장 표현과 의미를 검토하였고, 자녀를 둔 부모 33명과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42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번역판 Sensory Profile의 문항이해도를 평가하였다. 각 항목별 응답자의 80% 이상이‘보통(3점)’이상으로 응답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은 수정해야 할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전문위원회에서는 1차 검토 결과 부적절한 어휘 혹은 문법상 오류가 있는 37개 항목을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고, 2차 검토에서는 13개 항목, 3차 검토에서는 3개 항목 수정을 권고하였다. 전문위원회에 의해 수정된 Sensory Profile에 대한 부모와 치료사간의 문항이해도를 비교한 결과 부모집단은 응답자의 87.9~100% 가‘보통(3점)’이상으로 응답하여 수정해야 할 항목은 없었다. 작업치료사의 경우 문항이해도는 2개 항목(75번, 101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은 응답자의 83.3% 이상이‘보통(3점)’이상으로 응답하였다. 최종적으로 2개 항목은 전문위원회의 검토를 통하여 수정하였다.
결론 : 번역판 Sensory Profile은 부모집단과 치료사집단의 문항이해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문항이해도 측면에서 읽기 쉽게 표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전문위원회 검토를 통하여 일부 항목을 수정함으로써 내용 타당도를 높였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고, 매개변인인 이동기능을 통한 영향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9월 3일부터 2009년 5월 30일까지 논산지역 13곳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29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신체적 요인은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InBody 720을 사용하여 하지근육량과 비만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 요인은 통증과 우울에 관한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동기능은 이동능력(Timed Up and Go: TUG)과 선따라 걷기 검사가 실시되었고 낙상효능감에 대한 자료는 낙상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외생변인으로 선정하여 중간 매개변인인 기능이동능력과 최종 내생변인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Amos 7.0의 ML(Maximum Likelihood) 추정절차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동하기, 복부비만과 내장비만, 통증,우울 그리고 연령에서 부적(negative)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지의 근력과 성별에서는 정적(positive)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매개변인인 이동능력에 유의미한 인과 영향을 갖는 요인으로는 하지근육량(β=-.352), 비만도(β=.159), 심리적변인(β=.240)이었고 통제변인에서는 연령(β=.424)이었다. 최종내생변인은 이동기능(β=-.524)과 심리적 변인(β=-.152)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간접영향과 직접영향을 고려한 전체 영향에서 절대적 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이동기능(-.524), 심리적 변인(-.236), 연령(-.164)이다.
결론 :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동기능, 하지근육량, 심리적변인, 비만도, 연령이다. 따라서 작업치료에서 노인의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정확한 작업치료인력 공급 및 현황을 분석하고, 수요를 파악하여 미래의 적정 작업치료 인력 수급을 추계함으로써 작업치료 인력의 적정달성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사 양성 및 증가현황과 작업치료사의 전문가 활동 및 취업현황, 그리고 작업치료사의 적정 공급 추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작업치료사의 양성 및 증가현황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 자료를 수집하였고, 작업치료사의 전문가 활동 및 취업현황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내부자료를 이용하였다. 작업치료사의 적정공급 추계는 통계청, 보건복지가족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 우리나라 작업치료 공급 및 인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 4년제 19개교, 3년제 전문대학 27개교로 2원화되어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고 있다. 작업치료사 국가고시 응시자의 평균 합격률은 78%로 현재 4395명의 작업치료사가 배출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정보공시센터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작업치료(학)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79%였고, 2009년 취업률은 83%였다. 전문가 활동을 위해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가입한 작업치료사는 54.9%였으며, 기관별 취업 현황은 재활병원, 병원 및 종합병원, 노인요양병원 순이었다. 작업치료 인력 수준의 국제비교는 공급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으나, 2020년에 이르러서는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의 작업치료사가 양성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57.9%는 의료기관에 취업해 있다. 2020년 이후로는 10만 명당 작업치료사의 수는 37명으로 선진국과 비슷한 양적성장이 예상된다. 앞으로 작업치료사가 의료기관 외 지역사회에서 만성 장애인과 노인을 위해 작업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선진적 법제도의 변화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