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FES가 낙상 경험을 예측하는 선별 기준값을 구하고 FE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상 경험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병 후 낙상을 경험한 횟수를 기록하고 낙상 효능감 척도(Falls Efficacy Scale; FES)를 이용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인지 평가는 한국판 간이정신 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우울증은 한국판 노인 우울증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GDS),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하지 근력 측정은 앉아서 일어서기 검사(Sit to Stand test; STS), 상·하지 마비측 운동 기능은 퓨글마이어 상·하지 운동 기능 평가(Fugl Meyer-Upper, Lower/Extremity; FM-U/E, L/E), 동적 균형 능력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기능적 이동성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TUG)를 이용하였다. 낙상 예측의 FES 선별 기준값(cutoff value)을 결정하기 위해 수용자 작업특성곡선(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을 이용하였고 FES와 낙상 경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전진 wald)을 실시하였다. 결과 : 낙상 경험을 예측하는 FES의 선별 기준값이 14.5점 이상이면 낙상의 위험요소를 가졌음을 예측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되며, 14.5점 미만이면 비다발성 낙상자로 할 수 있다. FE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TUG, 낙상 경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FES가 낙상군과 비낙상군을 선별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 FES는 낙상의 두려움에 대한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고 기능적 수행 능력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낙상 경험의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신뢰할만한 평가 도구로 임상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추후 개개 환자들의 낙상위험요소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체 기능을 평가하는 정량적인 분석과 더불어 심리학적인 요소가 추가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600원
        2.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the Trunk Control Test (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o compare the TCT, PASS-TC, 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fter stroke. Sixty-two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CT, PASS-TC, TIS balance (Berg Balance scale; BSS), gait ability (10 m walk test),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un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mobility part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gl Meyer-Upper/Lower Extremity (FM-U․L/E). The scatter-plo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mposed for the total scores of the TCT, PASS-TC, and T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runk control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wenty eight participants (45.2%) and twenty participants (32.3%) obtained the maximum score on the TCT and PASS-TC respectively; no subject reached the maximum score on the Trunk Impairme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IS and TCT (r=.38, p<.01), PASS-TC (r=.30, p<.05), TCT and PASS-TC (r=.59, p<.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BS score (β=.420~.862) had slightly more power in predicting trunk control than the . TIS-dynamic sitting balance, TUG and the MBI-mobility part. This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runk control is still impaired in stroke patients.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results imply that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4,000원
        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점 척도인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와 5점 척도인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3점 척도로 단순화시켜 원본 PASS, BBS와 특성을 비교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PASS(0-1-2-3)는 PASS-3Level(0-1.5-3)로 BBS( 0-1-2- 3-4)는 BBS-3Level(0-2-4)로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PASS-3L과 BBS-3L 평가의 측정자내·측정자간 신 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를(ICC3,1), 절대적 신뢰도는 표준 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 저 실제 차이(Small Reference Differences: SRD)를 이용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PASS(PASS-3L), BBS(BBS-3L)의 동시 타당도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퓨글 마이어 운동(Fugl Meyer-Motor: FM-M)과의 수렴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PASS-3L과 BBS-3L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ICC = .96, .96,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ICC = .95, .94이었다. PASS-3L과 BBS-3L의 SEM은 각각 .99, 1.55, SRD는 1.74, 4.30, Cronbach's α계수는 .77, .85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PASS-3L의 동시 타당도는 PASS(r=.93), BBS(r=.75), BBS-3L(r=.80)과 유의한 관 련이 있었고, BBS-3L은 PASS(r=.80)와 BBS(r=.9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PASS-3L의 수렴 타당도는 MBI(r=.60), FM-M(r=.42)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BBS-3L은 MBI(r=.79), FM-M(r=.48)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2개의 단순화된 PASS-3L과 BBS-3L은 PASS, BBS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뇌졸 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4,500원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의 능력(capacity)과 수행(performance) 평가치의 신뢰도와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과 MBI(Modified Barthel Index)와의 기준관련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ICF에 경험이 있는 2명의 의사가 FIM과 MBI에 해당하는 항목을 ICF 항목과 연결시켜 10개 항목 중 3개의 범주인 이동, 보행, 자기 관리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모든 평가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ICF의 수행과 능력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급간내상관계수인 ICC(2.1)을 절대적 신뢰도는 SEM(Standard Error Measurement)과 SRD(Small Reference Difference)를 FIM과 MBI, ICF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ICF 능력과 수행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92(.95, .97), .98(.97, .99), SEM은 1.03, 1.09이었으며, SRD는 2.85, 3.02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ICF 능력 평가치는 FIM(r=-.97), MBI(r=-.90)와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ICF 수행 평가치는 FIM(r=-.73), MBI(r=-.69)와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ICF는 FIM과 MBI의 기준 관련 타당도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뢰할만한 기능 평가 도구로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임상 연구나 실험에서 유용한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의 간단한 침상 검사(Simple bedside tests)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예측에 있어서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4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후 7, 14, 40, 80일 정기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상지회복을 위한 4개의 잠재적인 예측을 평가하는 측정 도구(Active Finger Extension: AFE, Shoulder Abduction: SA, Shoulder Shrug: SS, Hand Movement Scale: HMS)와 3개의 상지 기능 결과를 평가하는 도구 (Box and Block Test: BBT, Nine Hole Peg Test: NHPT, Fugl-Meyer upper extremity: FugM)들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Simple bedside test(AFE, SS, SA, HMS; 입원 7일 후에 평가)가 상지의 기능적 예측 인자로서 종속변수(BBT, NHPT, FugM; 14일, 40일, 80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진적 다중 선형 회귀 분석(Forwar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 Hand Movement Scale은 뇌졸중 후 상지 기능 회복에서 단, 중, 장기간에 강력한 초기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 Hand Movement Scale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예측 할 수 있는 변수로서 신뢰 할만하다.
        4,000원
        6.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Berg Balance Test (BBS), Timed -UP & Go Test, Fugl Meyer-L/E, Balance, Sensory (FM-L/E, B, S), Motor Assessment Scale-Gait (MAS-G), Comfortable maximal Gait Speed (C MG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subjects were 40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Main outcome measures were Balance control (BBS, FM-B), Gait (TUG, C MGS, MAS-G), ADL (MBI) and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ies (FM-L/E,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FM scales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Balance, Gait and ADL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cl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BBS, FM-L/E, balance, sensory and MBI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 but TUG and C MG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sensory factor of the FM-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BBS. However the FM-balanc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TUG, MAS-G and C MGS.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atients.
        4,000원
        7.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y correlations amo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Modified Barthel Index (MBI), Tone Assessment Scale (TAS), Motor Assessment Scale-Gait (MAS-G), Fugl Meyer-Balance (FM-B), and to predict MBI from subscales of the PASS. The subjects were 41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The main outcome measures were postural control (PASS), gait (MAS-G), Balance (FM-B), Tone (TAS), ADL (MBI).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product correlation. PASS scale was used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ADL incline,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identify internal consistency on PASS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1. The highest level was sitting without support, the lowest level was standing on paretic leg on PASS scale. The highest level was chair/bed transfer, the lowest level was bathing on MBI. 2. All items of the PASS, except postural to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Balance, MBI (p<.01), 3.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85) was very high, indicating that the PASS is homogeneous and is likely to produce consistent response. Furthermore, the sums of maintaining position items and of changing-position items were strongly correlated (r=.64, p<.05)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ums of PASS, sums of maintaining position items (r=.87, p<.01), and changing-position items (r=.93, p<.01). 4. The standing without support of the PASS items was the strongest variance (R²=.85) of the predicting ADL function. These findings provide strong evidence of the predictive value of the postural control on gait, Balance, ADL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nd to can provide a reference for the successful therapeutic program and more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4,000원
        8.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근 긴장도 변화 및 상지기 능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4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모든 환자들은 자세조절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PASS),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측정 도구(Modified Barthel Index, MBI), 긴장도 사정 척도(Tone Assessment scale, TAS), Fugl-Meyer 평가 척도(Fugl-Meyer Assessment scale-upper extremity) 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PASS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지지하여 서기로 나타났으며,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환측으로 서기였고,MBI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의자/침상 이동이며, 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목욕하기로 나타났다.PASS의 모든 항목은 MBI, FM-UE, TAS와 유의한 상관관계(r=-33~91, p<.05~01)가 있으며,FM-U/E와 MBI(r=.35, p<.05), TAS- 안정(r=.-40, p,<.0.1), 연합항목(r=-.39,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86로 높게 나타났으며,PASS의 합과 자세유지 항목 (r=.90 p<.01)의 합,자세변화 항목(r=.93,p<.01)의 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자세유지 항목의 합과 자세변화 항목의 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69,p<.01)가 있었다.PASS 항목 중 누운자세에서 건측으로 돌기와 바닥에서 볼펜집어 올리기가 각각 ADL과 상지 기능을 예견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R2=.95, R2=.56)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ASS는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9.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roup therapeutic exercise programs on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balance-performing ability in older adults. Fifteen community-dwelling subjects (mean age 73.7 yrs, standard deviation 2.4)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8-week group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including strengthening and balance training, breathing and gait exercise, and recreation, consisted of activities related to daily liv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Modified Barthel Index (MBI), Berg Balance Scale (BBS), Functional Reaching Test (FRT), and Timed Up & Go (TUG) test were measured during pre-exercise and post-exercise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eight weeks, the MMSE-K and MBI total score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post-exercise tests than pre-exercise tests (respectively, p<.05, p<.01). 2. Of the MBI contents, personal hygiene, dressing, ambulation, and chair/bed transfers scores were significant increased for post-exercise tests. 3. Post exercise BBS, FRT, and TUG scores were higher than the pre-exercise scor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p<.05, p<.05, p<.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oup therapeutic exercise can be used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DL, and balance-performing ability in elderly person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