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임상실습 과정에서 병원의 일과가 끝난 후에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경험은 실습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시원의 일상에 대한 연구는 임상실습 학생들을 보다 잘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연구의 질문은“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의 고시원 생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방법 : 참여자는 작업치료 임상실습을 마치고 돌아온 학생 5명에게 심층인터뷰를 3~4회 실시하였다. 이들이 임상실습 과정에서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들을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상태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기간은 2008년 10월에서부터 2009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목적과 방법, 연구 참여에 대한 참여자의 자발성 및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는 권리의 보장, 비밀유지를 위한 익명처리, 면담 내용의 메모, 녹음 등 기록에 대해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지오르기의 4가지의 구체적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결과 : 연구결과는 86개의 의미단위, 14개의 하위 구성요소, 6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작업치료 학생들이 낯설고 삭막한 고시원에서의 생존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좁은 고시원 공간의 버거움’,‘ 공동생활의 어려움’,‘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함’,‘ 가족의 사랑으로 힘을 얻음’,‘ 공동생활에서 생존전략을 터득함’,‘ 낯선 생활에서 생존전략을 터득함’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임상실습생들은 고시원에서 생존을 위한 나름의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취업여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의 표준점수, 하위검사 요인별 상관관계, 직업프로그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에 걸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에서 직업능력평가를 받은 지적장애인 139명(고용 54명, 미고용 85명)의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 표준점수와 취업여부 확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의 표준점수는 모든 요인에서 취업집단이 미취업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취업여부에 따라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 하위검사들 간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프로그램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취업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지적장애인의 취업여부에는 신경근육발달검사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지적장애인은 맥크론 다이얼 시스템 하위검사의 표준점수가 높을수록 취업가능성이 높으며, 취업여부에는 신경근육발달검사 표준점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의 악력, 들어올림, 운반에 대한 기준값을 제시하고, 악력과 들어올림, 운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신지체로 장애 등록되어 있는 남녀 총 55명을 대상으로 8개월간 BTE사의 테스트(Transportable Evaluation Systems Technology: TEST)를 사용하여 악력, 들어올림, 운반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력과 들어올림, 운반은 동일 연령 대에서 정신지체인 남자와 여자의 두 집단 간에는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남자와 여자의 두 집단 내에서 연령별 악력과 들어올림, 운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둘째, 정신지체인 남자 집단 내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은 들어올림과 상관관계가 있었고(각각 r=0.38, r=0.43), 들어올림은 운반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38). 셋째, 정신지체인 여자 집단 내에서 왼손과 오른손 악력은 들어올림과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r=0.49, r=0.57). 들어올림은 운반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66).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지체인의 육체적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적합한 직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직업재활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velopmental data of the performance of children between the age of 6 to 12 to verify the hierarchical order of acquiring the cognitive competencies and to identify whether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sted in revised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The test consists of six subtests designed to be representative of various cognitive abilities.
The subjects were 60 normal children from age 6 to 12 were assigned to a group 1 from 6.0∼7.11, a group 2 from 8.0∼9.11 and a group 3 age 10.0∼12.0. We measured their cognitive-perceptual ability with LOTCA.
The results were a progress with from 6 to 12 years in both and speed of performance. Male group showed better score than females in Shape Identification of Visual Perception, Logic Question of Thinking Operatio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he Females are better than males in Motor Imitation of Motor Praxis, Pegboard Construction and the performance duration, Colored Block-Design and the performance duration, Plain Block-Design and the performance duration, and The length of time taken. Several subtests except Visual Perception, Direction on Cs’ Body, Spatial Relation of Spatial perception, Motor Praxis, Two-Dimensional Model of Visuomotor Organization, ROC Unstructured, ROC Structured, Pictorial
Sequence A, and Pictorial Sequence B of Thinking Operation, which 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With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LOTCA is an appropriate too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use in assessing cognitive-perceptual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