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大韓作業治療學會誌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8권 제2호 (2020년 6월) 12

1.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 건강, 작업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확인하고 실제 사용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려 한다. 연구방법 :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였고 보건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에게는 해외연구를 통해 효과가 확인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전체 12회기 중 7회기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였고 마지막 회기에는 우울(Center of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건강(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WHODAS 2.0), 작업균형(Life Balance Inventory; LBI)을 평가해 초기평가 자료와 분석하여 효과 및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 총 9명의 지역사회 노인이 참여했고 전체 12회기 중 평균 7.33(SD=2.35)회 출석했다. 7회기에 진행된 4점 만점 리커트 척도 만족도 설문 결과 참가자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효과성, 타당성, 적용가능성모두 적합한 수준이었다. 프로그램 전, 후 분석결과 LBI 전반적 균형점수 및 하위영역 중 도전과 흥미, 자아정체성 영역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우울과 건강에서는 CES-D 평균 점수가 감소했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작업균형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효과확인을 위해 개인회기의 부재, 중재량 제한 등 확인된 제한점을 보완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2.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및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임상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SNS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60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9문항, 대인관계능력 18문항, 감정노동 9문항, 직무스트레스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형태에서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급여가 300만원 이상인 군에서 낮았다. 대인관계능력 전체영역과 그 하위변인인 신뢰감이 높아질수록 직무 스트레스는 낮았고, 감정노동 전체영역과 하위 변인인 감정노동의 빈도 및 감정표현에 대한 주의에서는 그 정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들의 대인관계능력과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신뢰감’등 대인관계능력의 증진과 감정 노동의 관리가 필요하며, 앞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4,500원
3.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고찰연구는 정형외과 노인 케어 모델(orthogeriatric model of care)을 중심으로 정형외과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검색엔진 Google과 논문데이터베이스 CINAHL,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에서 정형외과, 관절 치환술 받은 노인 그리고 작업치료 검색어를 조합하여 문헌을 확인하고 영어권 선진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작업치료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결과 : 선진국에서는 정형외과에서 수술 받은 노인을 위한 케어 모델을 정형화하여 정형외과에서 수술한 노인환자의 빠른 회복과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다학제 팀을 이루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잇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학제 팀은 의사, 간호사와 더불어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로 구성된다. 케어 모델의 효과는 사망률 감소, 수술 후 합병증 예방, 섬망 발생 비율 감소, 중환자실 입원율과 요양원 입소 감소, 빠른 회복, 입원기간 단축, 기능적 회복 증진, 그리고 비용 효과 면에서도 우수하다. 정형외과 노인 케어 모델에서 작업치료는 수술 전 평가 및 교육, 수술 후 섬망 관리, 수술 후 조기 움직임, 관절 주의사항 교육, 낙상 예방, 재활, 퇴원계획, 퇴원 후 관리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 정형외과 노인들의 입원기간이 선진국에 비하여 길며 재입원율도 높아 정형외과 노인을 위한 다학제간 접근 한국형 케어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형외과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건강보험수가 현실에서 정형외과 작업치료를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커뮤니티 케어를 통해 지역사회 전문보건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병원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작업치료의 역할이 정형외과에서 꼭 필요하다.
4,500원
4.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의미있는 역할과 그 수행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구성하고 노인이 수행하는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 수행정도와 행복감을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60세 이상 노인 121명이며, 설문도구는 일반적인 특성,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와 주관적 행복 척도로 구성된 총 23개 문항의 설문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노인의 역할을 10가지로 구성하고 각각의 역할에 대한 정의를 내렸으며, 개개인에게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로 얼마나 수행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기술통계,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의미있는 역할을 많이 수행하고 있는 노인 그룹에서 행복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노인들의 행복감과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은 역할은 비교적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높은 학생, 직장인, 친구, 가족구성원, 조직구성원이었고, 취미인, 자원봉사자, 양육·간병인, 가정관리자, 종교인의 역할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 수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평가방식을 제안하였고,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의 점수가 높을 때 노인들의 행복감이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미있는 역할수행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5.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안구운동 중 안구추적, 안구도약, 안구고정을 동반한 컴퓨터 기반 주의력 훈련이 장애 아동의 주의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주의력에 문제 있다고 판단한 4명의 아동에게 8주 동안 총 24회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주의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종합주의력 검사(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와 별지우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도구는 안구운동을 입력장치로 연동한 컴퓨터 기반 주의력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안구운동 훈련과 주의력 콘텐츠를 주로 사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선택적 주의력, 간섭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참가자는 본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인지훈련을 받았으나 주의력에 변화가 없었다. 안구운동을 포함한 컴퓨터기반 주의력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여러 주의력 지수가 향상되었다. 특히, 분할 주의력과 작업 기억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났는데 별도의 분할 주의력과 작업 기억 훈련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았음에도 향상이 있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주의력 영역에서 반응 속도가 향상되었다. 결론 :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은 주의력이 저하된 장애 아동의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 간섭 선택적 주의력, 분할 주의력, 정보처리 속도, 작업 기억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동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보다 구조화된 실험설계로 효과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4,800원
6.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원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원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으며, 그 중 돌봄이 필요한 장애 노인 5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역으로는 수면활동, 일상활동, 노동활동, 여가활동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일상생활 유형, 여가과다 유형, 노동과다 유형, 작업균형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에 따른 시간 사용 부족감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작업 유형별 분석 한 결과 여가과다 유형 33.62%, 일상활동 유형 31.71%, 노동과다 유형 21.78%, 작업균형 유형 12.89% 이었으며, 모든 작업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 유형 예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작업균형 유형보다 일상생활 유형이 될 가능성은 60대와 70대보다 90대의 치매를 가진 남성이 높다고 예측되었으며, 여가과다 유형이 될 가능성은 치매와 뇌졸중을 가진 남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었다. 결론 :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 분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질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활동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600원
7.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가 지적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ADL과 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지적 장애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와 치료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Medline, KISS, RISS 등을 사용하여 2008년부터 2019년 사이에 출판된 논문을 검 색했다. 주요 검색어로 ‘intellectual disability’, ‘intervention’, ‘activity of daily living’을 사용하였고, 총 9편의 국내외 논문을 선정했다. 결과 : 연구에는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 Co-PID와 같은 다양한 방법의 중재가 사용되었으며, 모든 중재는 ADL 또는 참여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ADL 영역에서는 의사소통 기술, 작업수행기술, 식사 기술, 시지각 기술, 사회행동기술, 시간관리 기술 등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 다. 참여 영역에서는 의사소통, 선택하기, 학교관련 참여기술을 증진시켰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과 참여 수준을 향상시킨 작업치료 분야의 유의미한 중재들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의 질적 수준과 변수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재활 중재를 위한 깊이 있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8.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직업재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단군 및 중재의 유형과 효과에 대하여 국외 연구들을 중심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2019년까지 자료 검색을 위해 PubMed, EMBASE, OTseeker 둥 총 12개의 데이터베 이스에서 Mental disorder, Mental illness, Psychiatric disorder, Psychotic disorders, Bipolar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Employment, Job, Work, Vocational, Occupational therapy를 검색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29편이었다. 결과 : 연구에 포함된 진단군은 조현병이 가장 많았다. 직업재활을 중재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원고용이 16 편로 가장 많았고, 사회기술 및 인지재활 훈련+지원고용 10편, 사회기술 및 인지재활 훈련, 기타 직업적 접근법, 사회기술 및 인지재활 훈련+기타 직업적 접근법은 각각 1편이었다. 고용 유형에 따른 중재 유형별 고용률에서 효과를 나타낸 연구를 살펴보면, 경쟁고용에서는 지원고용이 13편, 비경쟁 고용에서는 기타 직업적 접근법이 1편, 유급고용에서는 지원고용이 3편으로 각각 가장 많았다. 결론 : 추후 국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정책과 평가체계 도입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900원
9.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상지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의 근 활성도,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선착순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의료연구협의회 지표(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로 대상자를 선별하여 뇌졸중 환자 31명을 무작위로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상지재활훈련군과 일반적 작업치료군으로 나눈 뒤, 주 5회 하루 30분씩 총 25회기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재 전ᆞ후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서 뇌졸중 상지 기능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EMG), 한국판 수정된 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뇌졸중 영향 척도 3.0(Stroke Impact Scale 3.0; SI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상지의 기능향상(MFT)이 있었고, 실험군에서 위팔노근의 근 활성도에 유 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일상생활활동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삶의 질 에서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 :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상지재활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근 활성도,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작업치료 방법이다.
4,800원
10.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유아의 언어 발달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의 발달이 촉진되어지는데, 감각 통합의 어려움이 있는 유아는 언어의 구사와 조음에서의 질적 결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감각 조절의 관계를 밝혀 적절한 중재의 개입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발달센터에 내원한 만 3세 유아 53명으로 성별은 남아 37명, 여아 16명이고 월령의 범위는 36개월에서 47개월이었다. 검사 도구는 Short Sensory Profile(SSP)를 2000년 김미선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언어 발달은 영ᆞ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되었고, 언어 발달은 SELSI 검사 결과 등가연령 18개월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각 조절의 어려움은 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동이 동반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결과로 보인다. 둘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특히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 중 청각 여과하기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 중 표현 언어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각 영역 감각 조절이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이며, 언어 발달이 더딘 유아가 표현 언어 발달이 되기 위해서는 청각 여과하기를 다뤄주는 감각 통합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특히 감각 조절 중 청각 여과하기는 언어 발달 중 표현 언어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1.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geism is recognized as a concern in the context of a rapidly aging population. Current literature acknowledges the outcomes of ageism toward older adult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focus on the reciprocal effect toward young people. Programs geared at reducing ageism toward older adults show positive outcomes for both generations. This review explored the importanc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nd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on decreasing ageism toward young people. Method: A comprehensive database 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eligible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9 and 2019. To be considered for final inclusion, studies had to implement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with outcome measures specifically addressing older adults’ attitudes toward young people. Results: Of the 4,661 articles retrieved, 12 studies were included with 1,570 participants. The specific intergenerational interventions differed, but commonalities included extended contact,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mentorship. Eleven of the twelve articles yiel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reducing ageism toward young people. Evaluation of program outcomes resulted in four themes. Conclusion: Moderate evidence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on reducing ageism toward young people. These results describe the literature and support the reciprocal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Occupational therapists can be instrumental in promoting reduced ageism across the lifespan.
4,800원
12.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Free Water Protocols (FWPs) are implemented selectively because of mixed evidence on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their use.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a long-standing clinical program and descriptively reports rehabilitation and quality care outcom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ver 6 years (n = 575). Inpatient rehabilitation setting.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age, medical diagnoses, rate of acute care hospital transfers, discharge destinations, length of time on FWP. Results: Cohort consisted of older adults (M = 68.43, SD = 15.11), with diagnosis of stroke (60.2%), brain injury (19.1%), spinal cord injury (7.3%), cardiac (1%), orthopedics (5%), other (13.1%). Acute care hospital transfers occurred in 6% as descriptively compared to national average (14%). Additionally, participants tolerated FWP for days (M = 14.1, SD = 14.4) and most went home following rehabilitation Discussion: This retrospective study concludes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FWP in a rehabilitation facility and reports descriptive outcomes. Experimental research is required for conclusions to be made regarding effectiveness of the FWP for dysphagi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