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가능성: 예비연구 KCI 등재

Feasibility and Effect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o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1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 건강, 작업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확인하고 실제 사용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려 한다.
연구방법 :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였고 보건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에게는 해외연구를 통해 효과가 확인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전체 12회기 중 7회기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였고 마지막 회기에는 우울(Center of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건강(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WHODAS 2.0), 작업균형(Life Balance Inventory; LBI)을 평가해 초기평가 자료와 분석하여 효과 및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 총 9명의 지역사회 노인이 참여했고 전체 12회기 중 평균 7.33(SD=2.35)회 출석했다. 7회기에 진행된 4점 만점 리커트 척도 만족도 설문 결과 참가자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효과성, 타당성, 적용가능성모두 적합한 수준이었다. 프로그램 전, 후 분석결과 LBI 전반적 균형점수 및 하위영역 중 도전과 흥미, 자아정체성 영역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우울과 건강에서는 CES-D 평균 점수가 감소했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작업균형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효과확인을 위해 개인회기의 부재, 중재량 제한 등 확인된 제한점을 보완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s o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by assessing their depression, health, and occupational balance, an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Methods: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sed, and elderly people in the community who were participating in a public health center program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received lifestyle intervention based on a program that had already proven its effectiveness through other studies. During 7 of the 12 session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program satisfaction questionnaire aim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During the last session, researchers assessed the depression (Center of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WHODAS 2.0), and occupational balance (Life Balance Inventory; LBI) of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data. Results: Nine elderly community-dwelling people participated the study and attended an average of 7.33 (SD=2.35) out of the 12 sessions. As a result of the program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subjective efficacy, validity, and feasibility revealed appropriate. The overall LBI balance, challenge and interest, and identity subscale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However, neither their depression nor their health scores chang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propo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occupational balance of elderly participants, and can positively affect the health of elderly community-dwelling people. However, to confirm the effect more clearly, further study is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ogram.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
    3. 평가도구
    4. 통계적 분석
Ⅲ. 연구 결과
    1. 프로그램 전, 후 효과 비교
    2.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신윤찬(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Shin Yun-C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박지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Ji-Hy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