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상현실 기반 상지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근 활성도,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Muscle Activ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1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상지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의 근 활성도,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선착순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의료연구협의회 지표(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로 대상자를 선별하여 뇌졸중 환자 31명을 무작위로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상지재활훈련군과 일반적 작업치료군으로 나눈 뒤, 주 5회 하루 30분씩 총 25회기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재 전ᆞ후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서 뇌졸중 상지 기능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EMG), 한국판 수정된 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뇌졸중 영향 척도 3.0(Stroke Impact Scale 3.0; SI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상지의 기능향상(MFT)이 있었고, 실험군에서 위팔노근의 근 활성도에 유 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일상생활활동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삶의 질 에서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 :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상지재활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근 활성도,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작업치료 방법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upper limb rehabilitation using smart glov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muscle activation,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31 patients after a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tudy group of 16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15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virtual reality-based upper limb rehabilitation using smart gloves was applied, and for the control group, occupational therapy was giv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5 sessions, 5 times a week for 30 min. A Manual Function Test, surface electromyography,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and Stroke Impact Scale 3.0 were applied as pre- and post-assessments.
Results: Virtual reality-based upper limb rehabilitation using smart glo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muscle activation,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Virtual reality-based upper limb rehabilitation using smart gloves is an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method for improving the upper limb function, muscle activ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연구설계 및 과정
    3. 중재방법 및 도구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2. 실험군의 중재 전ᆞ후 비교
    3. 대조군의 중재 전ᆞ후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황호성(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Hwang Ho-S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유두한(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김희(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He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김수경(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Su-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