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15개 기관 기관 내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 총 15개 기관 중 13개 기관의 작업치료사 293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 결과 현실적으로 낮은 수가로 인해 질적인 측면 보다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치료행위와 작업치료사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문성 있는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 있어 개인의 기능과 요구도에 따른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의 적절한 수행이 매우 중요한데, 연구 결과 시범사업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일상생활활동 관련 훈련들은 기본적 일상 생활활동이 대부분으로, 매우 낮은 빈도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점을 본 사업 시행시 반영하여 회복기 재활의 목적과 고유 기능을 명확히 하였을 때 비로소 대상자들의 조기 사회복귀라는 목표를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through survey on OT Methods : From June 1 to June 30, 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93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13 institutions out of a total of 15 institutions of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intervention and employ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were practiced in terms of quanti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aspect due to low Institutions's fee. This necessitated institutional complement and improvement to provide professional treatment. In addition, the adequate intervention between basic ADLs and instrumental ADLs is very important in daily lif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activities related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pilot project institution are only basic ADLs of daily living, and that Instrumental ADLs are carried out at a very low frequency.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problems have to be identified, and the relevant improvement needs to be included in the main project, which can make the purpose and specific functions of recovery phase clear. By doing so, it will finally be possible for the subjects to return to their life as soon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