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포기 관계 KCI 등재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Performance of National Figure Skat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6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중도 포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목표성향이 운동포기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체육회의 산하 경기단체인 대한체조협회의 등록유무에 관계없이 2006년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 1년 이상 국제 및 전국 규모의 에어로빅체조 대회에 출전한 경험이 있고 2006년 현재까지 에어로빅체조대회에 1년 이상 참가하지 않음은 물론 선수생활을 다시 할 생각이 없다고 반응한 운동포기자 141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성향 질문지는 Duda(1992)에 의해 개발된 성취목표성향질문지(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13문항)를 김병준(2001)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운동포기 척도는 성창훈(2002)이 개발한 스포츠 탈퇴요인 척도(40문항)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단일적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운동포기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은 운동포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aimed at relation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ed how much effects on the exercise drop out.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141 including both men and women who used to participate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aerobic championship competitions for one year and longer before 2006, but have not participated in such an event since 2006, and said they would not resume their gymnast career, regardless of their affiliation at the Korea Gymnastics Association.
For the research analysis, a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urvey,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TEOSQ, 13 questions) developed by Duda(1992) and adapted by Byeongjun Kim(2001) was used. To measure to which degree sport is given up, the sport abandonment classification survey(40 questions) developed by Changhun Seong(2002) was used.
For the correct analysis they are used which ar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MANOVA,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xercise drop out according to gender and career. Seco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lso affects of exercise drop out partially.

저자
  • 안주미(신성대학) | Ju Mi A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