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행동의 지속성 향상을 위한 운동심리상담 모델적용 및 효과검증 KCI 등재

Verification of Exercise Counseling Program for Exercise Adher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운동장면에서 운동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동기저하나 의욕상실, 그리고 중도탈락과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운동심리 상담모델 개발과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시 소재의 J 대학부설 국민체육센터에 등록하여 참여한 고객들 중 운동참여율이 비교적 낮고, 운동행동변화단계가 1-3단계에 속하는 대상을 중심으로 목적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 14명 총 29명을 무선배치 하였다. 본 연구의 운동심리 상담 모델 구성은 기초욕구평가, 심층적 평가, 목표구성 및 기초실행, 응용모델 실행, 결과 및 평가에 대한 상담 모델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모델적용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심리상담 모델이 적용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결과기대가 높았고, 운동 지속성도 경향성, 강화성, 그리고 가능성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운동만족 하위요인중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다. 셋째, 실제 운동참여 정도는 실험집단의 운동심리 상담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빈도가 증가하고, 참여지속시간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운동참여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심리상담 차원의 전략으로서 참여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운동참여의 개인적, 환경적, 사회적 방해 및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요인들을 직접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운동심리 상담모델을 통하여 운동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지식확충과 태도변화, 내적동기의 강화, 그리고 폭넓은 사회적 지지를 확보함으로써 신체적 자기 효능감을 크게 갖도록 하는 것이 여러 운동 방해 및 장애요인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운동심리 상담전략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접근한 운동심리 상담의 모델은 운동행동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ercise counseling program for exercise adherence and to examine it's effects through pre-and post-te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 participants of sport center in J. Univ. Two groups were treatment group (n=15) and control group(n=14). The structural strategies of counseling program included individual data acquisition, analysis of exercise barrier factor, information of exercise effect, goal setting of exercise practice, and social support. The survey sheets were examined wit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content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and then ensur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exercise adherence (predisposing, enabling, reinforcing),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exercise satisfaction, and exercise degree(frequence, duration, intensity). The data were analysed without the others which had poor qualities or were unreliable were excluded.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NCOVA, Wilcoxo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at is, exercise adherence, exercise outcome expectation, exercise satisfaction, and exercise degree in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tatistically. In conclusion, The exercise counseling program of this study affects exercise adherence.

저자
  • 윤기운(동신대학교) | Gee Woon Yc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