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에 대한 운동행동 예측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Exercise Addiction for Prediction of Exercise Behavior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625명의 생활체육 참여자들을 표집 하여 그들의 운동중독요인(사회적 문제, 운동의존, 금단증세, 운동동기, 운동욕구)에 영향을 주는 운동행동(빈도, 시간, 강도, 기간)변인들의 예측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측정도구는 Adams(2001)와 Ogden 등(1997)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김재훈(2007)이 개발한 운동중독질문지(EAQ)를 사용하였다. 일련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참여자들의 집단별(성, 건강, 종목별) 운동행동변인은 대부분의 운동중독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심리측정적 관점과 운동중독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집단별 운동행동변인이 운동중독에 차이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예상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운동참여자들의 운동중독에 대한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625 participants exercise participants their addiction to the sampling factors (social probleme, exercise dependence,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motivation, desire Movement) actions that affect the exercise behavior(frequency, time, intensity, duration) for factors of prediction. Measurement tools are Adams (2001) and Ogden (1997), the leading research Kim, jae-hoon (2007),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exercise addiction (EAQ) is used. Results of the exercise participants conducted a series of pha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group (Gender, Health, iteml)for factors exercise behavior is acting factor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f exercise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ocial and psychological side of the static point of view of the peculiarity related to the discussions and exercise addiction, and is addicted to the exercise behavior for factors acting exercise a group difference can be expected to affect the offer.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exercise addiction for the participants of the exercise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저자
  • 이재형(중앙대학교) | Jae Hyoung Lee
  • 김재훈(중앙대학교) | Jae Hoon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