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ccording to Body Fa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이와 관련된 지각된 이득과 장애요인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체지방량, 지각된 이득과 장애요인이 신체활동수준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는지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총 273명의 청소년들이 체지방량을 기초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뉘어져서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상체중 집단: 104명, 과체중 집단: 94명, 비만 집단: 75명). 연구참여자들의 비만의 정도와 신체활동수준 그리고 신체활동에 대한 이득 및 장애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체지방량, 여가시간 신체활동 질문지, 신체활동 의사결정 질문지 등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의 수준과 신체활동의 지각된 장애요인은 정상체중 집단, 과체중 집단, 비만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참여자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지각된 이득요인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체활동을 설명하는 예측인자로서 체지방량은 45%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지각된 이득 변인중 “스트레스 해소”는 36%, 지각된 장애 변인 중, “신체적 불만”은 49%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체지방량과 지각된 이득 및 장애요인을 통합하였을 경우 신체활동을 예측하는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체중과 비만인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신체활동 관련 이득 요인은 극대화 하고 장애요인들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toward physical activity among normal-weight,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s predicted by body fat,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A total of 273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a normal-weight group (n = 104, Mage = 15.6±0.9, Mean Body fat = 18.8±1.0 kg/m2), an overweight group (n = 94, Mage = 15.8±1.0, Mean Body fat = 23.9±1.3 kg/m2), and an obese group (n = 75, Mage = 15.8±1.0, Mean Body fat = 36.7±4.1 kg/m2). Body fat, Weekly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Decision Balance Questionnaire for Physical Activity were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obesity,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toward physical activ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normal-weight,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In addition, adolescents' perceived barriers toward physical activ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groups, while for perceived benefit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m.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centage of body fat as a predictor had 45% of variance to explain physical activity, and that percentage of body fat and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together had 40% of variance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 strategy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of overweight and obese adolescents focuses on reducing the weight-related barriers that they have h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