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와 동기분위기지각이 스포츠퍼슨십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on Sportspersonship among Collegiate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부 선수들의 성취목표와 동기분위기 지각이 스포츠퍼슨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438명의 남자선수가 스포츠 목표성향 검사지, 동기분위기 지각 검사지 및 스포츠맨십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상호작용이 있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과제성향목표와 숙련분위기 지각은 운동선수들의 스포츠퍼슨십을 예측하는 강력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제성향×수행분위기, 과제성향×자기성향의 상호작용 효과가 최선, 동료배려, 판정존중 및 승부집착에서 나타났으며, 자기성향×수행분위기의 상호작용도 동료배려와 판정존중 및 승부집착에서 나타났다. 운동 몰입과 팀 정신, 결과인정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각된 동기분위와 성취목표가 운동선수들의 스포츠퍼슨십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collegiate athletes' achievement goals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on sportspersonship. 438 male athletes completed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and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Sportspersonship Orientations Scale in Youth Sport.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FA, internal consistency, CFA for measure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ask-oriented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mastery climate to be positive predictors of sportspersonship among athlete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or task orientation×performance climate and task orientation×ego orientation emerged from respect for full commitment, respect for the opponent, respect for rules and officials, adhesion to game. In contrast,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effects on flow of athletics, team spirit, and respect for judgement were not appeared. The findings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and achievement goals orientation in order to enhance athletes' positive sportspership.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2. 상관관계
  3.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