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적 심상이 뇌파와 사격수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Visual Imagery on Cerebral Cortical Activity and Rifle Shooting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 시각적 심상이 대뇌활성화와 사격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2) 심상시에 유도된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사격 경험이 없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남녀 대학생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의 연령은 18세에서 28세이고 평균연령은 21.3세이며,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이들은 시각적 심상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 되었다. 뇌파분석을 위해서 시각적 심상집단의 경우 1분씩 총 3회 심상동안의 EEG(electroencephalography)가, 통제집단의 경우 1분씩 총 3회 휴식을 하는 동안에 측정된 EEG 가 분석되었다. 집단별 뇌파(세타, 알파, 베타파) 파워값의 차이와 사격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 시각적 심상시에 측정된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각 주파수 대역의 파워값과 분단별 사격수행 점수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심상 집단은 무심상 집단보다 대뇌활성화의 효율성(neural cortical efficiency)이 컸고, 심상 후 습득단계와 파지단계 모두에서 사격점수가 높았다. 또 심상 시의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상관분석은 심상시의 세타파가 높을수록 사격점수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어 심상으로 인해 유도된 뇌파가 사격수행을 중재할 수도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effects of visual imagery on cerebral cortical activity and rifle shooting performance and 2) correlation between imagery-induced EEG activity and shooting performance. Twenty-four participants who had no previous experience on rifle shooting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8 years (M=21.3 year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1) Visual imagery group (n=12), (2) Control group (n=12). Participants performed 40 acquisition trials, followed by 20 retention trials. Repeated two way ANOVAs have been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1) powers of alpha, beta, and theta band at Fz, T3 & T4 electrode sites and 2) shooting performance during 4 acquisition blocks and 2 retention blocks. Correlation between power values of each frequency bands at each electrode sites and shooting scores have been analyzed. As the result, visual imagery increases psycho-motor efficiency by elevating theta power at task-irrelevant region (T3). Shooting score was higher in visual imagery group relative to control group. Addition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has been observed between theta power at T3 and T4 during visual imagery and shooting scores. This result implies that visual-imagery induced-theta power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mediate the shooting performa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기구 및 과제
  3. 실험절차 및 처치방법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심상능력 검사지
  2. EEG 분석
  3. 사격 분석
  4. EEG와 사격점수의 상관관계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권명화(경북대학교) | Kwon, Myung-Hwa
  • 김성운(경북대학교) | Kim, Sung-Woon
  • 전현정(경북대학교) | Jeon, Hyeon-Jeong
  • 이건영(경북대학교) | Lee, Gun-Young
  • 김진구(경북대학교) | Kim, Jin-Gu
  • 우민정(체육과학연구원) | Woo, Min-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