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의 기본심리적욕구 검사지의 교차타당화 KCI 등재

Cross-Valid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3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개념인 인간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를 체육수업 상황에서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박중길과 김기형(2008)이 개발한 운동선수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에 기초하여 중고등학생용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일련의 문항수정과 예비검사를 통해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에 대한 기본 심리적 욕구를 측정할 수 있는 3요인 12문항의 최종 척도를 구성하였다. 남녀 중고등학생 1,033명에게 두 차례의 본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로 각각 척도에 대한 내외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 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와 일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본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다집단 분석의 결과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가 남녀 중고등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개념적 구조를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평균분석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세 가지 욕구 수준이 높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가 낮지만 관계성 욕구는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ettings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Collegiate Athletes(Park & Kim, 2008) and to examine its construct validity through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A series of modifying procedures a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tems that can properly measur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for physical education. As the final version fo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the items and scale were developed.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scale were examined using data obtained from two main surveys. Also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esting its construct validity and latent mean analysis. As a result, the evidence of concurrent validity was obtained from correlation analysis us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in general. The evidence of predictive validity was obtained from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using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multi-group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can properly measur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In the latent mean analysis,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atent mean values i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needs than females. Compar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latedness needs, but lower in autonomy and competence needs relativel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 제작
  2. 구인 타당도 분석
  3.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
  4.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