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트레스 유발 처치에 따른 시공간과제 수행력과 뇌 활성화 변화 KCI 등재

Cerebral Cortical Activation and Performance of Visuomotor Task according to the Stress-eliciting Treat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 사회적 평가, 경쟁, 금전적 보상을 통한 스트레스 유발 처치가 시공간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2) 스트레스와 수행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신경효율성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평균나이 23.4세의 대학생 15명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스트레스 유발 처치조건과 무 처치조건에서 시각-모터 포인팅 과제를 수행하였고, 스트레스 유발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제수행 시 각성측정의 지표인 심박수와 visual analogue scale(VAS)을 통해 경쟁심, 스트레스가 측정되었다. 또 스트레스 유발 처치가 수행력과 뇌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제수행 정확성과 뇌파(EEG)가 분석되었다. 먼저 스트레스 유발처치가 유의한 각성의 증가를 유발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스트레스 유발조건과 무 조건간 심박수, 경쟁심,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과제수행시 뇌파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조건(스트레스 유, 무), 뇌반구(좌, 우), 영역(전두, 중심, 두정, 측두, 후두엽)이 반복측정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종속변인은 델타, 세타, 알파, 베타, 감마파의 파워값이었다. 분석결과, 스트레스 무 처치조건과 비교해서 유발조건에서 심박수, 경쟁심,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과제수행정확성은 무 처치조건보다 스트레스 조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EG 분석결과 스트레스 유발조건에서 시공간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우뇌의 활성화가 스트레스 무 처치조건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이러한 조건별 차이는 과제 관련 뇌 영역인 측두엽에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스트레스 유발 처치로 인한 과제 수행력 향상의 기전이 과제관련 뇌 영역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신경효율성의 증가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elicited by social evaluation, competition, and monetary reward on performance of visuo-motor task and neural efficiency. Participants were fifteen college age students whose mean age is 23. 5 year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both non-stress condition(practice alone) and stress-eliciting treatment condition. During performing visuo-motor pointing task on both conditions, heart rate, electroencephalography(EEG), competitiveness and stress were measured. The performance score has been calculated by root mean square error(RMSE). To examine if stress-eliciting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s arousal compared to non-stress condition, paired-t test was employed on heart rate, competitiveness and stress. Separate 2 (conditions) * 2 (hemisphere) * 5 (brain region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ress-eliciting treatment on brain activity. Dependent measures were delta, theta, alpha, beta, gamma powers. As the result, although heart rate in stress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ne in non-stress condition, performance was better in stress condition relative to non-stress condition. The result of EEG analysis revealed that activation in right hemisphere that is responsible for visual-spatial processing under stress condition was higher relative to non-stress con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non-stress and stress treatment condition was only observed in temporal region. The results imply that stress treatment eliciting moderate level of arousal appears to improve performance by increasing neural efficiency, which is characterized by greater activation in task-relevant brain area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기구 및 과제
  3. 실험절차 및 처치방법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심박수, 경쟁심, 스트레스, RMSE
  2. EEG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우민정(체육과학연구원) | Woo, Min-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