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가운동을 통한 신체 자기개념 변화와 변인들에 관한 연구 (요가운동 참여동기, 요가운동을 통한 만족요인, 요가운동 방해요인) KCI 등재

Study about Changes in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Factors through Yoga (Participation motivation, Satisfaction factor, Obstruction fa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요가수련생들의 요가운동에 대한
참여동기와 수련생들의 요가운동을 통한 만족요인, 요가 운동 시 운동에 방해가되는 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요가수련을 통해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사전․사후 비교분석하였다. 요가수련에 참가한 피험자는 총 150명으로 16주간, 주 2회, 2시간씩 요가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지와 김병준(2001)의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심리상태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서 나타난 원자료의 결과로는 피험자들의 요가 운동 참가 동기요인은 653건, 요가운동을 통한 만족요인은 909건, 요가운동 시 운동에 방해가 되는 요인은 197건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귀납적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가운동의 참여동기 요인으로 신체건강/체력, 정신건강, 즐거움, 몸매관리, 교정/치료, 전문학습, 운동, 절약적 참여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요가운동을 통한 만족요인은 정신건강, 신체건강/체력, 지도자, 몸매관리, 교정/치료, 건강/운동 중요성 인식, 성취의 기쁨, 활동성, 절약적 참여로 나타났다. 한편 요가운동 시 방해요인으로는 수업환경의 열악, 참가정도의 문제, 개인적인 문제가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가운동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의 사전 사후에 대한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변화에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스포츠유능감, 체지방, 외모, 건강,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10개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bout motivation factors, satisfaction factors, obstruction factors influencing the yoga participation, and further to analyze the changes in physical self-description. One hundred fift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a 16-week yoga program completed Open Questionnaire and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First, results from the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physical health/strength, mental health, pleasure, body shape care, correcting/remedy, skill learning, exercise, and economical reason we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factors included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strength, teacher satisfaction, body care, correcting/remedy, recognition of health/exercise, pleasure of accomplishment, activity, and economical reason. Also, class environment,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dividual problems were the factors interfering the participation. Secondly, t-test results of the changes in participants' physical self-description showed that sports competence, fat, appearance, health, physical activity, self-esteem, flexibilit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general physical concept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yoga particip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요가 프로그램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요가운동 피험자의 참여동기, 운동참여 만족 요인, 운동방해요인
  2.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변화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인혜(성균관대학교) | Park, In-Hye 교신저자
  • 김승철(성균관대학교) | Kim, Seung-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