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와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 of Physical Educator's Autonomy-Support with Sense of Community,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동시에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남녀 중고등학생 605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은 내적동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내적동기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 및 공동체 의식의 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별과 학년급 간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 수준이 높지만 공동체 의식과 협력학습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지각된 자율성 지지와 협력학습 수준이 낮지만 공동체 의식과 내적동기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과 학년급 간 차이도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tonomy support, sense of community,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ut also to test the factorial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grade. 60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multi-group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students' feelings of community and collaborative learning positively, which in turn directly influenced on intrinsic motivation. Also the indirect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indicated that male students felt higher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s and intrinsic motivatio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mmunity spirit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 felt less autonomy support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an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munity sense and intrinsic motiv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2. 연구모형 검증
  3. 집단 간 잠재평균 비교
  4. 집단 간 모형 적합도 비교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 정주혁(고려대학교) | Jung, Joo-Hyu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