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규칙적인 운동이 섭식장애 여성의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효과 : 사례연구 KCI 등재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Program on Self-Discrepancy of Eating Disorder Women : A Cas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규칙적인 운동이 섭식장애 여성의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효과를 심층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섭식장애 전문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섭식장애 여성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7주간의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이 시행되는 동안 수집된 질적 자료(구조화된 면담, 운동일지, 관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자기질문지에 대한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섭식장애 여성 A, C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 참여를 통해 향상된 신체 자기평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실제 자기평가를 향상 시켰고, 운동 참여 과정 중에 수립된 객관적 신체기준은 자기 안내자(self-guides)를 낮춰 자기불일치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섭식장애 여성 B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참여 기간 동안 개선되지 않은 신체 불만족, 낮은 자아존중감과 개인적 특성이 자기불일치를 오히려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program on self-discrepancy of eating disorder women. Three women with eating disord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and were participated in regular exercise for seven weeks. The data were gathered with a exercise diary, a observation diary, a constructed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utilized for drawing the result by using content analysis, and also executed descriptive statistics with self-questionnaire for reliability of the result. In a case of eating disorder women A and C, self-discrepancy was decreased by enhanced actual-self evaluation. It was affected from improved physical-self evalua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lso decreased self-guid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discrepancy. On the other hand, in a case of eating disorder women B, self-discrepancy was increased during exercise participation. It was affected from eating disorder women B's physical dissatisfaction, low self-esteem, circumstance related job,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섭식장애 여성 A
  2. 섭식장애 여성 B
  3. 섭식장애 여성 C
 Ⅳ. 논 의
  1. 섭식장애 여성 A와 C의 자기불일치 변화에서의 공통점
  2. 섭식장애 여성 A의 자기불일치 변화
  3. 섭식장애 여성 C의 자기불일치 변화
  4. 섭식장애 여성 B의 자기불일치 변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찬열(국민대학교) | Kim, Chan-Yeoll
  • 홍준희(국민대학교) | Hong, Jun-Hee 교신저자
  • 김경원(서원대학교) | Kim, Kyun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