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 만족 검사지(PECSQ)의 교차 타당도 검증 KCI 등재

Exploring Cross-Valid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PECSQ)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으로 제작된 Cunningham(2007)의 신체활동 수업만족 검사지(PACSQ)를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맥락으로 제작한 검사지(PECSQ)의 내외적 구인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총 1,255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주성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체육수업만족 검사지는 8요인(건강/체력향상, 재미/즐거움, 숙달경험, 지도방식, 규준적 성공, 상호작용, 활력/이완, 인지발달)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녀 중고등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인구조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모든 요인에서 만족 수준이 더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건강/체력향상, 숙달경험, 지도방식, 규준적 성공 및 인지발달 등과 관련된 만족 수준이 더 낮았다. 따라서 본 검사지는 내외적 타당도와 시간적 안정성 검증을 통해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and temporal stabi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PECSQ) modified into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rom Physical Activity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PACSQ) developed by Cunningham(2007). 1,255 boys and girls students from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CFA indicated that PECSQ consists of eight subfactors of satisfaction (improvement of health and fitness, fun and enjoyment, mastery experience, teaching, normative success, interaction with others, diversionary experience and relax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have factorial structures commonly applicable to both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showed that boys were higher in all of satisfaction factors than girls,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were lower in level of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health and fitness, mastery experience, teaching, normative success, and cognitive development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PECSQ with external validity and temporal stability can be used as a inventory being able to measure the level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experienced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검사지 제작
  2. 신뢰도 분석
  3. 구인 타당도 평가
  4. 모형의 구인동등성과 잠재평균 비교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