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evelopment of fermented pumpkin porridge as a meal replacement KCI 등재 SCOPUS

호박을 이용한 식사대용식 발효 호박죽 제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16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호박의 부산물인 호박잎과 씨를 첨가하여 제조한 호박죽과, 발효 공정을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 호박죽 제품의 영양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박죽의 발효 전과 발효 후 단백질 및 전분 분해효소 활성을 비교한 결과, 발효 후 배지에서 단백질 및 전분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주재료(호박, 호박잎, 호박씨) 함량 65% 중 호박잎과 씨를 각각 0.25% 첨가한 시료(0.5%), 0.5%씩 첨가한 시료(1.0%), 1.0%씩 첨가한 시료(2%)를 발효과정을 거쳐 제조한 분말과, 1.0%(호박잎과 호박씨 각각 0.5% 첨가)로 제조한 분말(비발효, 대조구)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발효 호박죽 시료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탄수화물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고, 수분, 조지방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당 분석 결과, 대조구(26.23±2.15%) 시료가 가장 높았으며, 발효 후 시료(18.31%-19.05%)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Glucose, fructose와 sucrose 등 유리당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이 되었으며, fructose와 sucrose 함량은 발효 시료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sucrose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총 유리당 함량은 대조구(36.54±1.41%)가 가장 높았으며, 발효처리 시료의 경우 14.93-15.72%로 크게 감소하였고, sucrose 함량 감소가 주원인이었으며, 이는 총당 결과 발효과정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색도 측정결과, L 값(명도)은 대조구 비해 발효과정을 거친 제품의 경우 조금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이는 발효 유무보다는 재료의 첨가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a 값(적색도)과 b 값(황색도)의 경우 발효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시료간의 색차값을 비교한 ΔE 값은 0.5% 첨가한 발효 호박죽 분말이 10.09, 1.0% 첨가시료가 8.96, 2.0% 첨가시료가 10.34로 나타나 발효과정이 분말 고유의 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박죽을 제조할 때 호박잎과 호박씨를 각각 1.0% 정도 첨가하여 발효처리를 한 호박죽의 제품이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ddition rate of dried pumpkin leaf and seed to pumpkin porridge, as well as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pumpkin porridge. For enzyme activities amylase and protease from fermented pumpkin porridge were examined. Fermented pumpkin porridge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pumpkin leaf and seed powder in the ratio of 0.25, 0.5, or 1.0%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porridge. With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fermented pumpkin leaf and seed powder added, the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pumpkin porridge increased, whereas the crude lipid contents decreased. The total sugar contents in the control sample (without fermented pumpkin powder) was higher (26.23±2.15%) than that of the others (18.31-19.05%). Major free sugars in the samples were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The total free sugar contents in the control samples was higher (36.54±1.41%) than that in the other samples containing fermented pumpkin porridge powders. The Hunter’s L, a, and b value decreased as the contents of fermented pumpkin leaf and seed powder increased. Our results reveal that, adding fermented pumpkin leaf and seed powder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pumpkin porridge and addition of 1% powder is optimal.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저자
  • Jung Suk Park(Departmen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Kwang-ju Womens University) | 박정숙
  • Hwan Sik Na(Agricultural Products Inspection Center, Jeolla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나환식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