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화지의 입지와 임분특성 및 경영시업에 따른 식생변화 추이분석 KCI 등재

Forest Stand and Site Characteristics in Post Forest Fire Area and Management Treatments for Optimal Vegetation Resto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28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산불 피해지에서의 임분구조 및 입지환경 인자를 분석함으로서 이에 따른 산화 피해정도를 모형화하고 산화피해지의 피해목 처리에 따른 구성종의 종 다양도 및 그 식생회복 형태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입지 환경인자에 의한 산화피해율간의 관계를 정준상관 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해발고 200m, 100m, 사면경사가 30도 이상인 입지의 임분밀도가 높은 소나무 단순단층림이 산화 발생 피해율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화지 피해목 처리방법에 따른 식생회복 과정을 분석한 결과 피해목 존치보다는 피해목을 제거하는 것이 식생회복에 효과적이라 사료되었다. 따라서 산불피해지에 대한 식생회복을 위한 적절한 시업적 조치는 입지, 자생 수종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model to estimate damage degree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fire and site environment factors and to clarify the restoration trends thorough multi-temporal survey by observing species diversity followed by various treatments at damaged forest area over time. From the derived model, the damage degree of forest fire was higher in the area of dense coniferous stands composed of simple story at the elevation of about 100m and 200m, and on steeper slope area over 30 degree. As results of this study, fire damaged trees are needed to cut down and a mixed stand with deciduous and coniferous species from the same area is desirable for the future species composition on fire damaged forest. Thus, site characteristics, local species, and mixed stands are the main consideration to enhance the vegetation recovery.

목차
초 록
 ABSTRACT
 I. 서 언
 Ⅱ. 재료 및 방법
  2.1 연구 대상지
  2.2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3.1 산불피해지 생장특성
  3.2 입지환경인자와 산불피해 관계
  3.3 산화지의 임분 처리방법에 따른 식생변화
 Ⅳ. 비설명인자에 대한 고찰
 Ⅴ. 결 론
 Literature cited
저자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 Kwang-Soo L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석권(국립산림과학원) | Suk-Kwon Kim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배상원(국립산림과학원) | Sang-Won Ba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경재(국립산림과학원) | Kyung-Jae L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강영제(국립산림과학원) | Young-Jae Kang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정수영(경상대학교 학술림) | Su-Young Jung (The Research Forests, Gyeongsang National Univ.) 교신저자
  • 문현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Shik Moon (Dept. of For. Environ. Res.(Instit. of Agric. and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