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근현대교육의 식민성에 따른 미래 고등교육의 교육사회학적 논의 KCI 등재

An Educational Sociological Discussion on Future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loniality of the Modern Korean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0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한국 근현대고등교육의 형성 초기가 되는 시기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고, 과거 근현대교육의 식민성에 따른 고찰을 중심으로 미래 고등교육의 방향성을 교육사회학적 논의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근현대교육은 일제 강점기, 미군정 시대의 교육적 식민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 고등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 식민 통치하의 민족주의 교육이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지켜왔는지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식민지 교육의 잔재가 남아있는지 살펴보는 것, 이 시기의 교육사에 밝혀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연구해 보는 것도 고등교육의 미래를 위함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고등교육의 과정에서 대학의 사회화 기능 역할을 인지함과 동시에 특정 이데올로기 재생산, 상징적 폭력을 알아차리고 구분하는 것, 여러 분야에서 재생산되는 불평등함을 인지하는 것, 사회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관점의 존재, 더불어 자신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행위에 그 가능성이 있다. 셋째, 평준화를 가장한 차별·역차별구조,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관행과 교육, 인종적·민족적·성적·지역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고등교육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체하고 배울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times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Korean universities and attempts to suggest directions for higher education of Korea in the future through an educational sociological discuss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the coloniality of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 in the past. With regards to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ts colonial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era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discussion on the future higher education in the perspectives of sociology of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future Korean higher education, teachers and learners may investigate on whether nationalist education under Japanese rule retained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hile examining the remains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revealing developments undiscovered in today’s history of education. Second, there lies a possibility of the future higher education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 role of universities as soci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process, realize and identify the reproduction of specific ideologies and the occurrence of symbolic violence, acknowledge inequalities reproduced in various aspects, and consistently develop their thoughts by having interests and various perspectives in their society. Third, teachers and learners are required to constantly examine and study the discriminated and reversely discriminated-structure feigned as equalization, dichotomy on tradition and education, and the possible reproduction of inequalities across races, nationalities, genders and regions.

저자
  • 방재임(경기대학교 융합교양학부) | Jaeim Bah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