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순천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품종의 과실 특성 KCI 등재

Nut Characteristics of Chestnut Variety Cultivated in Sunch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1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순천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품종의 과실 특성을 파악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품종별 밤송이의 착과수는 축파가 평균 122.5개로서 가장 많은 착과수를 나타내었고, 품종별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밤송이당 평균 함과수의 범위는 1.3 (국견)~2.4 (평기)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입중은 17.5 (출운)부터 28.1 g (국견)까지로 품종간 변이가 컸다. 밤나무 과실 수확량은 상림의 1,000.4 g부터 축파의 5,479.5 g까지 품종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창방감율 (90.8%)이었으며, 80% 이상의 건전과 비율을 나타낸 품종은 국견, 단택, 축파, 대보, 평기, 신이평의 6품종이었다. 열과율은 0.0~26.1%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창방감율이 0.0%로 가장 낮았으며 광덕이 26.1%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variety improvement by means of nut characteristics of chestnut variety cultivated in Suncheon area. While Tsukuba has the largest number of burr with 125.5,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hestnut variety. Average number of nuts per burr ranged from 1.3 in Kunumi to 2.4 in Pyeonggi,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hestnut variety. Average nut weight varied between 17.5 g in Isseumo to 28.1 g in Kunumi. Nut yield ranged form 1,000.4 g in Sangrim to 5,479.5 g in Tsukuba,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hestnut variety. Changbanggamyul had the highest rate of healthy nut, Kunumi, Tanzawa, Tsukuba, Daebo, Pyeonggi, and Sinyipyeong had the rate of healthy nut more than 80%. The rate of split pericar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hestnut variety as ranged from 0.0% in Changbanggamyul to 26.1% in Gwangdeok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Ⅲ. 결과 및 고찰
  3.1 과실의 양적특성
  3.2 과실의 질적특성
 ≫ Literature cited
저자
  • 박준호(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 | Jun-Ho Park (Dept of For. Res., Gyeongsangnam-do For. Environ. Res. Insti.)
  • 윤준혁(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Joon-Hyuck Yoon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 Res. Insti.)
  • 황명수(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Myung-Soo Hwang (Dept. of For. Res. Develop., Korea For. Res. Insti.)
  • 조민기(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in-Gi Cho (Dept. of For. Environ. Res.,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 김창환(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Chang-Hwan Kim (Dept. of For. Environ. Res.,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 최명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yung-Suk Choi (Dept. of For. Environ. Res.,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 김종갑(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ng-Kab Kim (Dept. of For. Environ. Res.,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 문현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Shik Moon (Dept. of For. Environ. Res.,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 Life Sci.)) Corresponding author